* 욕설, 비방, 광고, 도배질 글은 임의로 삭제됩니다.

한국 100만명 중국인` 시대 시작.. 일상서 만나는 문화충돌 커지는 반감

페이지 정보

pike

본문

[MT리포트]No China, 선 넘은 문화공정 커지는 반감③

[편집자주] 중국의 왜곡에 국내 소비자가 뿔났다. 중국에서 제작된 드라마, 웹소설, 게임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 스며든 중국 중심 사상에 소비자들이 불매운동으로 적극 맞서고 있다. 오랫동안 쌓여온 반중(反中) 정서가 이제야 수면 위로 떠올랐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런 현상의 원인을 분석하고 대응책도 함께 고민해본다.


대림동 차이나타운/사진=뉴스1


중국 문화콘텐츠 불매운동 뒤에는 오랫동안 쌓여온 반중 감정이 자리하고 있다.

국내 체류 중국인이 늘고 일상에서 한국인과의 문화충돌이 발생하면서 시민들 사이에는 '중국인=비(非)매너'라는 공식이 생겼다.

미세먼지, 코로나19 등 중국과 관련된 사안에 정부가 안일하게 대응한 것도 반감을 키웠다.


중국인 100만 시대… 일상에서 만나는 중국인, 잦은 문화 충돌
국내 체류 중국인 100만명 시대다. 법무부에 따르면 코로나19가 퍼지기 직전인 2019년까지 파악한 국내 체류 중국인은 110만1782명이다. 2015년 95만5871명에서 4년새 15만여명이 넘게 늘었다.

이렇게 중국인이 많아지면서 일상생활에서는 한국인과 문화 차이 때문에 종종 충돌이 벌어지기도 한다.


서울 강남구의 한 성형외과 실장으로 일했던 A씨는 "몇 해 전만 해도 중국인 손님들이 병원에서 담배를 피워대는 곤욕을 치른 적이 더러 있다"고 말했다. A씨는 "실내에서는 흡연을 금지한다는 안내를 해도 그때만 불을 끌 뿐 또 피워서 결국 혼자 흡연할 수 있는 상담실로 안내하곤 했다"고 말했다. 중국에서는 흡연에 대해 상당히 관대한 편이다. 흡연을 권하는 문화도 있으며 대부분 도시에서 실내 흡연이 가능하다.


학교에서도 비슷한 일이 벌어진다. 중국인 학생이 절반 가량인 서울 모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B교사는 "중국이 우리나라를 침범한 역사를 가르치던 중 한 학생이 '왜 중국이 나쁘냐'며 반문했다"며 "알고보니 이 학생은 중국인 부모를 둔 친구여서 중국 중심의 역사관에 익숙해져 있던 탓이었다"고 말했다.


B교사는 중국인 학부모와 부딪힌 경험도 털어놨다. 그는 "도벽이 있는 아이를 지도한 적이 있는데, 중국인 학부모가 처음엔 '죄송하다'고 하더니 나중에는 학교 교육이 잘못됐다며 비판을 하더라"고 말했다. 이어 "알고보니 중국은 아직 우리나라 80년대 분위기와 비슷해서 체벌이 가능하며 이를 학부모들이 용인 혹은 권장하는 분위기가 있더라"며 "그렇다보니 매를 들지 않는 한국 학교 선생님들이 이해가지 않을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강력범죄=중국 동포' 편견 자리잡아…"건수로만 판단 위험"
본격적으로 반중정서가 수면 위로 올라온 건 각종 범죄 사건에 중국 동포의 이름이 자주 오르내리면서부터다. 일부 중국동포가 연루된 보이스피싱 범죄와 ‘수원 시신훼손 사건(범인 오원춘)’, ‘대림역 칼부림 사건’ 등 조선족이 저지른 강력범죄를 접하면서 부정적 인식이 자리 잡은 것이다.

경찰청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9년까지 발생한 외국인 범죄 3만6400건 중 중국 국적의 범죄가 1만 8177건(약 50%)으로 가장 많다. 살인·강도·강간·강제추행 등 강력범죄도 342건으로 비중이 가장 높으며, 협박이나 폭행 등 폭력범죄도 5410건에 달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이젠 중국동포가 많이 사는 지역에서 강력범죄가 발생하면 가해자가 중국 동포라는 의혹부터 제기된다.

하지만 범죄 건수로 막연하게 중국인이 위험하다고 평가하는 것은 편견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의 보고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검거인원 지수가 가장 높은 국적은 몽골,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순이었으며 중국은 5번째에 그쳤다.


김태환 한국이민정책학회 회장은 "대부분의 중국 동포들은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규범을 준수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일부 강력범죄를 확대해 전체로 일반화하는 것은 비합리적"이라고 지적했다.

미세먼지·코로나19… 중국에 제 목소리 못내면서 반감 커져

(서울=뉴스1) = 한정애 환경부 장관이 지난달 16일 오후 한강홍수통제소에서 황룬치우 중국 생태환경부 장관과 화상회의로 만나 양국의 미세먼지 대응 강화 방안과 탄소중립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환경부 제공) 2021.3.16/뉴스1


정부가 미세먼지, 코로나19(COVID-19), 한국 불매운동 등의 문제에 즉각 대응하지 못한 일도 반감을 키웠다.

봄철의 불청객으로 불렸던 황사와 함께 전국이 미세먼지로 덮이는 일이 잦아지면서 국내에서는 중국에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하지만 정부는 먼저 국내 기업과 개인생활을 제한했다.


2016년엔 환경부가 밀폐된 공간 내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고등어를 지목하자 국내보다 해외(중국) 요인이 더 크다는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


다만 최근엔 중국 정부도 미세먼지등 환경에 대해 노력하고 있다. 한경애 환경부 장관은 지난달 황룬치우 중국 생태환경부 장관을 만나 "고농도 미세먼지로 인한 우리 국민의 우려가 깊다"고 전했다. 표현은 순화했지만 우리나라 장관이 미세먼지와 관련 중국 정부 고위 관료에 국민을 언급하며 사실상 유감을 표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코로나19 유행과 반중정서도 일부 관계가 있다. 코로나19 유행 초기 중국발 방문객의 입국을 금지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 와 관련, 중국인 입국을 금지해달라는 청와대 국민청원이 올라왔고 동의하는 국민이 70만명이 넘었다. 하지만 정부는 "실효성이 없다"는 이유로 허베이성에서 온 방문자의 입국만을 금지했다.


이창명 기자 charming@mt.co.kr, 한민선 기자 sunnyday@mt.co.kr, 오진영 기자 jahiyoun23@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추천 1

작성일2021-04-09 21:47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게시물이 없습니다.
게시물 검색
* 게시일 1년씩 검색합니다. '이전검색','다음검색'으로 계속 검색할 수 있습니다.
** 본 게시판의 게시물에 대하여 회사가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