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욕설, 비방, 광고, 도배질 글은 임의로 삭제됩니다.

어느 노부부의 처절한 인생

페이지 정보

Mason할배

본문

어느 노부부의 처절한 인생

우리 부부는 조그마한 만두 가게를 하고 있습니다.
손님 중에 한 할아버지와 할머니는 매주 수요일 오후 3시면
어김없이 우리 만두 가게에 나타나는 겁니다.

대개는 할아버지가 먼저 와서 기다리지만 비가 온다거나 눈이 온다거나
날씨가 궂은 날이면 할머니가 먼저 와서 구석자리에 앉아
출입문을 바라보며 초조하게 할아버지를 기다리곤 합니다.

두 노인은 별말 없이 서로를 마주 보다가 생각난 듯
상대방에게 황급히 만두를 권하다가 눈이 마주치면
슬픈 영화를 보고 있는 것처럼 눈물이 고이기도 했습니다.

대체 저 두 분은 어떤 사이일까?
나는 만두를 빚고 있는 아내에게 속삭였습니다.
글쎄요. 부부 아닐까?

부부가 뭐 때문에 변두리 만두 가게에서 몰래 만나요?
허긴 부부라면 저렇게 애절한 눈빛으로 서로를 바라보진 않겠지.
부부 같진 않아.” 혹시 첫사랑이 아닐까요?

왜 그런 거 있잖아요.
서로 열렬히 사랑했는데 주위의 반대에 부딪혀 본의 아니게 헤어졌다.
그런데 몇 십 년 만에 우연히 만났다.
서로에게 가는 마음은 옛날 그대로인데 서로 가정이 있으니 어쩌겠는가.

그래서 이런 식으로 재회를 한단 말이지?
아주 소설을 써라.
말은 그렇게 했지만 나는 아내의 상상이 맞을 지도 모른다고 생각했습니다.

서로를 걱정하는 마음이 그대로 드러나는 따뜻한
눈빛이 두 노인이 아주 특별한 관계라는 걸 말하는 것 같았습니다.

근데, 저 할머니 어디 편찮으신 거 아니에요?
안색이 지난 번 보다 아주 못하신데요?

아내 역시 두 노인한테 쏠리는 관심이 어쩔 수 없는지 걱정스러운 얼굴로 말했습니다.
그러고 보니까 오늘 따라 할머니는 눈물을 자주 닦으며 어깨를 들먹거렸습니다.

두 노인은 만두를 그대로 놓은 채 자리에서 일어났습니다.
할아버지는 돈을 지불하고 할머니의 어깨를 감싸 안고 나갔습니다.

나는 두 노인이 거리 모퉁이를 돌아갈 때까지 시선을 뗄 수가 없었습니다.
곧 쓰러질 듯 휘청거리며 걷는 할머니를
어미 닭이 병아리 감싸 듯 감싸 안고 가는 할아버지.

두 노인의 모습이 내 마음을 아프게 했습니다.
할아버지와 할머니는 대체 어떤 관계일까?
아내 말대로 첫사랑일까?

사람은 늙어도 사랑은 늙지 않는 법이니까 그럴 수도 있겠지.
어머? 비가 오네. 여보, 빨리 솥뚜껑 닫아요.

그러나 나는 솥뚜껑 닫을 생각보다는 두 노인의 걱정이 앞섰습니다.
우산도 없을 텐데…

다음 주 수요일에 오면 내가 먼저 말을 붙여 볼 생각이었습니다.
그런데 다음 주도 그 다음 주도 할머니 할아버지는
우리 만두 가게에 나타나지 않는 겁니다.

처음엔 몹시 궁금했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두 노인에 대한 생각이
묵은 사진첩에 낡은 사진처럼 빛바래기 시작했습니다.

그게 사람인가 봅니다.
자기와 관계없는 일은 금방 잊게 마련인가 봅니다.
그런데 두 달이 지난 어느 수요일 날, 정확히 3시에 할아버지가 나타난 겁니다.

좀 마르고 초췌해 보였지만 영락없이 그 할아버지였습니다.
오랜만에 오셨네요. 할아버지는 아무 말 없이 조금 웃어보였습니다.

할머니도 곧 오시겠지요?
할아버지는 고개를 가로 저으며, 못 와.  하늘나라에 갔어. 하는 겁니다.
나와 아내는 들고 있던 만두 접시를 떨어뜨릴 만큼 놀랬습니다.

할아버지 얘기를 듣고 우리 부부는 벌린 입을 다물 수가 없었습니다.
너무 기가 막혀서, 너무 안타까워서.

두 분은 부부인데 할아버지는 수원의 큰 아들 집에,
할머니는 목동의 작은 아들 집에 사셨답니다.

“두 분이 싸우셨나요? 할아버지께 물었습니다.
그게 아니라 며느리들끼리 싸웠답니다.
큰 며느리가 “다 같은 며느리인데 나만 부모를 모실 수가 없다”고

강경하게 나오는 바람에 공평하게 양쪽 집에서
할아버지, 할머니를 한 분씩 모시기로 했답니다.

그래서 두 분은 일주일에 한 번씩 견우와 직녀처럼 서로 만난 거랍니다.
그러다가 할머니가 먼저 돌아 가셨답니다.

이제 나만 죽으면 돼.
우리는 또 다시 천국에선 같이 살 수 있겠지..
할아버지는 중얼거리며 창밖으로 시선을 던졌습니다.
할아버지 뺨에는 눈물이 주르륵 흐르고 있었습니다.
==
추천 8

작성일2022-06-13 12:38

Mason할배님의 댓글

Mason할배
부모란 자식에게
  말(斗)로 줘도 부족해 하는데
자식이란 부모에게
  홉(合)으로 내밀면서도 선뜻하지 못한다.
==

Mason할배님의 댓글

Mason할배
자식들 생각해서
노 부부의 생 이별..
이 게 말이 됩니까?

꿈나무님의 댓글

꿈나무
어느 방송국에 장수 프로그램에 출연한 92세 된 할머니에게 아나운서가 묻는 말에
할머니의 익살과 재치가 넘치는 정말 멋진 대답입니다. “할머니, 금년 연세가 어떻게 되시는지요?”
“응, 제조(製造)일자가 좀 오래 됐지.”
“할머니, 요즘 건강은 어떠하신지요?” “응, 이제 유통기한이 거의 다 되어간다 싶네.”
“할머니, 혹시 주민등록증 가지고 계시면 저에게 한번만 보여주실 수 있으신지요?”
“에구, 주민등록증을 어디 어디다 뒀나 통 기억이 안나.
대신 골다공증(骨多孔症)은 있는디 그거라두 보여 줘?” “할머니, 할아버지는 계셔요?”
“에휴, 재작년에 말이야. 뒷산에 자러간다고 가더니만 아직도 안 일어나는 구먼 그려.”
“할머니, 그럼 할아버지 어서 깨우셔야지요.” “아녀, 나도 인자 빨리 같이 자러 가야제.
그 영감 내가 70년 넘게 데리고 살아 봤는디

너무 오래 혼자 두면 틀림없이 바람 나.”

Mason할배님의 댓글

Mason할배
꿈나무 님.
고맙습니다.
오랫만에 웃어 봤습니다.

Mason할배님의 댓글

Mason할배
이 할머니 대단히 유식하시군요.
다 같은 증이라도
症 은 병의 증상할 때 쓰는 것
證 은 증명 할 때 쓰는 것을 다 알고
그래도 같은 “증”이니 이것으로 하면 안 되겠나할 정도니 말입니다.
.
주민등록증은 놓고 다닐 수도 있지만
골다공증은 뼈속에 숨어 있는지라 놓고 다닐 수가 없으니 말입니다.
==
옛날 어느 시골에 사는 할머니가 약국에서 감기 약을 받아 오면서
약사가 복용법을 알아야 한다면서 잘 설명을 해 줬는데
집에 와서는 그 복용법이 생각이 나지 않았다.

약사의 말 대로 “복용법”이란 말에 “법”은 듣던 말이니 아는 말이라 빼버리고
“복용”을 알면 되겠지 하고
동네를 돌아다니면서 누가 “복용이”를 아는가 물어도 아는 사람이 없다.
==
그래서 감기가 심해져서 고생을 하고 있는데
멀리 사는 아들이 집에 오니 노모가 고생을 하고 있어
왜 약을 먹지 않았는가 물었더니
낮에 약국에 갔다 온 얘길 하면서
“복용이”를 몰라 이렇게 하고 있다고 했다.
그리곤 온 동네 다 물어도 모르더라고 했다.
==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게시물이 없습니다.
게시물 검색
* 게시일 1년씩 검색합니다. '이전검색','다음검색'으로 계속 검색할 수 있습니다.
** 본 게시판의 게시물에 대하여 회사가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