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욕설, 비방, 광고, 도배질 글은 임의로 삭제됩니다.

구직? 취업교육? 그냥 쉬었다"..청년 니트족 30만명 돌파

페이지 정보

pike

본문





"구직? 취업교육? 그냥 쉬었다"..청년 니트족 30만명 돌파


[헤럴드경제=유재훈 기자]


최악의 청년실업 속에 경제활동을 하지 않으면서도 특별히 하는 일 없이 쉬는 청년이 지난해 30만명을 넘어섰다.


11일 통계청에 따르면 2017년 비경제활동인구 중 경제활동을 하지 않은 이유가 ‘쉬었음’으로 분류된 청년층(15∼29세)은 30만1000명으로 전년도의 27만3000명보다 2만8000명 늘었다.

[사진=헤럴드DB]


전체 청년층에서 ‘쉬었음’으로 분류된 이들이 차지하는 비율도 2016년 2.9%에서 2017년 3.2%로 0.3%포인트 높아졌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이들로 일할 수 있는 능력은 있으나 일할 의사가 없거나, 일할 능력이 없어 노동 공급에 기여하지 못하는 이들을 뜻한다. 비경제활동 사유로는 진학준비, 육아, 가사, 교육기관 통학, 연로, 심신장애, 입대 대기, 쉬었음 등이 해당된다.


유럽 등에서는 교육ㆍ직업훈련을 받지도 않고 취업도 하지 않는 젊은층인 니트(NEETㆍ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족이 사회 문제가 되고 있는데, 한국에서도 비슷한 문제가 심각해진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다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취업이나 정규 기관 통학ㆍ교육 훈련 여부 등을 기준으로 니트족을 판단하는데, 이런 기준을 적용하면 가사를 이유로 한 비경제활동인구까지 니트족으로 분류될 수 있다는 점 등에서 차이가 있다.


‘쉬었음’ 청년층은 취업이 어려운 환경에서 더욱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청년층의 지난해 실업률은 9.9%로 관련 집계 이후 시작한 이후 가장 높았고 체감실업률을 나타내는 ‘고용보조지표3’은 청년층이 22.7%로 2016년보다 0.7% 포인트 높았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구직활동을 해도 안 되니 좌절감을 느끼다가 결국 일자리 구하기를 포기하고 취직 준비조차 단념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대졸자 수와 인구구조 등에 비춰볼 때 2025년까지는 청년실업이나 청년층의 취업 포기 문제가 계속 심각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 교수는 이들이 생산 인구로서의 역할을 못 하는 것은 물론 이들을 뒷받침하기 위한 사회적 비용도 증가시킬 것이라며 “이는 정책 하나로, 혹은 예산 조치로 풀수 없는 매우 구조적인 문제라서 정부ㆍ기업을 포함한 사회 전체가 함께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추천 0

작성일2018-01-10 18:02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게시물이 없습니다.
게시물 검색
* 게시일 1년씩 검색합니다. '이전검색','다음검색'으로 계속 검색할 수 있습니다.
** 본 게시판의 게시물에 대하여 회사가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