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욕설, 비방, 광고, 도배질 글은 임의로 삭제됩니다.

노벨상 수상 작가 펄벅이 본 한국의 가을

페이지 정보

산울림

본문

노벨상 수상 작가 펄벅이 본 한국의 가을

  1960년 가을녘, 한국을 방문한 미국의 여류소설이자  대문호인
펄벅 여사(1892~1973) 를 동행하며 취재한 글이이다

펄벅은 어린시절에 선교사인 부모를 따라 중국에서 살았던 경험으로
중국 서민들의 생활을 소재로 1930년 첫 작품 ‘동풍서풍'으로 인기를
끌었고, 이듬해 1931년 중국의 한 빈농과 하녀 출신 부인이 대 지주가
되기 까지의 살아가는과정을 그린 장편 소설  ‘대지’ (The Good Earth)
퓰리처상을 받고 1938년에는 노벨문학상을 받은 세계적인 작가였다.

  경주를 여행하는 차안에서 바같을 내다보던 펄벅 여사가 가을녘 시골집
마당의감나무끝에 감 여나무 개를 보고는 문득 “따기 힘들어 그냥
두는거냐" 고 물었다
기자는 “까치 밥이라해서 겨울새들을 위해 남겨 둔것" 이라고 설명 하자
펄벅 여사는 “바로 그거예요, 제가 한국에서보고자 한 것은 고적이나
왕릉이 아니었어요, 이것 만으로도 나는 한국에 잘 왔다고 생각해요”
라고 하며 탄성을 내 질렀다.

  대문호인 그녀는 한번더 감동을 느낀다.
마침 가을 들녘에서 온 종일 밭일을 마친 소가 힘들어 할까보아
달구지를 타지 않고 지게에다 볏단을 짊어진 농부가 소 곁에서 걸어가는
모습니었다

1963년 출간한 펄벅의 ‘살아있는 갈대' 첫머리에 “한국은 고상한 사람
들이 사는 보석 같은 나라" 라고 극찬 한것은 날 짐승과 소까지 배려한
한국인의 고운 심성을 느꼈기 때문이다.

  펄벅 , 미국인이지만 동양인을 사랑했던 여인, 자신의 딸이 정신지체와
자폐증 환자임을 알기에 더 마음 아픈 아이들을 사랑으로 품은 어머니
그러기에 전쟁 고아들을 위해 미국에 최초의 동양계 고아원 ‘welcom
house’ 를 세웠고 가을녁 한국 방문에서 느낀 감동으로 유한 양행
창업자 와같이 전쟁 혼열 고아 2.000명을  위한 소사 희망원을 세워
운영하였다(후에 펄벅 기념관이 되었다).

  여자로서 이혼의 아픔, 고통 받으며 외면 받고 사는 딸, 그러면서도
아이들을 후원 하기위해 많은 책을 집필하고 4명의 아이를 입양하고
사랑을 끝없이 베푼 펄벅 여사.

  한국 전쟁후 1인당 국민 소득이 67달러로 지금 아프리카 최 빈국
수준이던 한국을 보석 처럼 사랑 하면서 버림받은 고아들의 보금자리
를 만들어 주었고 한국의 가을을 사랑했던 펄벅 여사의 아름다운 삶을
산 한 여자로서, 엄마로서의 진한 감동을 느끼며 우리 한인사회도
서로 뜨거운 가슴을 나눕시다.
 

https://youtu.be/9A5RkRcdk5Y



추천 3

작성일2022-11-04 22:37

산울림님의 댓글

산울림
재미있고 감동있는 이야기는 My 게시판 사랑방에 올릴려 합니다

자몽님의 댓글

자몽
그래요 수준 높은 글은 다른 곳으로 올리는 방법도 좋은생각일겁니다..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게시물이 없습니다.
게시물 검색
* 게시일 1년씩 검색합니다. '이전검색','다음검색'으로 계속 검색할 수 있습니다.
** 본 게시판의 게시물에 대하여 회사가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