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욕설, 비방, 광고, 도배질 글은 임의로 삭제됩니다.

미국 집사기 16년만에 가장 어려워졌다. 집값.금리 동반상승

페이지 정보

pike

본문

집 사기 16년만에 가장 어려워졌다…집값·금리 동반상승

집값과 대출 금리의 동반 상승 탓에 집을 사기가 16년 만에 가장 어려워졌다.
오늘(8일)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미 부동산중개인협회 NAR가 산정하는 주택구입능력지수가 지난 5월 102.5로 떨어져 2006년 7월 100.5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최근 32년간 가장 낮았던 1990년 7월, 100.2와도 가까운 수준이라고 신문은 지적했다.

NAR 주택구입능력지수는 전국 기존주택 중위가격, 가구당 중위소득, 모기지 평균 금리 등을 반영해 산정한다.

코로나19 사태 직후 '제로 금리'의 영향으로 지난 2년 동안은 집을 사기 쉬웠다.

수요 폭발로 매수 경쟁이 치열하고 집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았지만 역대 최저 수준의 모기지 금리 덕분에 실질적인 부담은 크지 않았다.

그러나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연방준비제도의 가파른 금리인상 여파로 최근 30년 만기 고정 모기지 금리가 6%에 육박할 정도로 급등, 매수자들의 부담을 키우고 있다.

모기지 금리는 경기침체 염려 속에 이번 주 5.3%까지 떨어졌지만, 1년 전 2.9%와 비교하면 두 배에 가까운 수준이다.

이로 인해 지난 5월 기준 평균적인 모기지 상환액은 월 천842달러로 올해 1월 천297달러나 전년 동월 천220달러보다 50% 가까이 급등했다고 NAR은 전했다.

금리 부담에 수요가 위축되면서 전국 기존주택 매매 건수가 넉 달 연속 감소하는 등 주택시장 열기가 빠르게 식고 있지만, 매물로 나오는 주택 공급이 부족해 당분간 가격은 좀 더 오를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한다.

미 주택건설협회 수석이코노미스트인 로버트 디에츠는 월스트리트저널에 "우리는 지금 주택 구입능력에 관한 위기에 처했다"고 말했다.

수요가 줄어들면서 최근 몇 주간 매도인들이 콧대를 낮추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부동산 중개업체 레드핀에 따르면 아이다호주 보이지, 애리조나주 피닉스, 텍사스주 오스틴 등 지난 몇 년간 집값이 급등한 지역에서 다수의 매도인이 호가를 낮추고 있다. 
추천 0

작성일2022-07-09 22:02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게시물이 없습니다.
게시물 검색
* 게시일 1년씩 검색합니다. '이전검색','다음검색'으로 계속 검색할 수 있습니다.
** 본 게시판의 게시물에 대하여 회사가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