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욕설, 비방, 광고, 도배질 글은 임의로 삭제됩니다.

== 모순(矛盾) == (펌)

페이지 정보

Mason할배

본문

== 모순(矛盾)  == (펌)
...
矛 창 모
盾 방패 순
...
전국시대 초나라에서 무기를 파는 상인이 시장에서 방패를 흔들며 외쳤다.
“이 방패는 아주 단단해 어떤 창이라도 막아냅니다.”

이번에는 창을 들어 올리며 외쳤다.
“이 창은 아주 예리해 어떤 방패도 단번에 뚫어버립니다.”

그러자 상인을 지켜보던 한 구경꾼이 물었다.
“그럼 그 예리한 창으로 그 단단한 방패를 찌르면 어찌 되는 거요?”
말문이 막힌 상인은 슬그머니 자리를 떴다.

말이나 행동의 앞뒤가 서로 어긋남을 비유하는 모순(矛盾)은
《한비자》에 나오는 창(矛)과 방패(盾) 파는 상인 얘기가 유래다.

‘인간은 만물의 척도’라고 한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프로타고라스에 관한 일화 하나.
어느 날 한 청년이 돈이 없어도 논법을 배울 수 있느냐고 물었다.

프로타고라스가 말했다.
“좋네, 공부가 끝난 뒤 치른 첫 재판에서 이기면 그 돈으로 수업료를 내게.”
한데 외상(?)으로 논리 공부를 마친 청년은 수업료를 낼 마음이 전혀 없는 듯했다.
재판에도 관심이 없고 놀기만 했다.

참다못한 프로타고라스가 청년을 고소했다.
재판정에서 마주친 청년에게 그가 넌지시 말했다.
 “어차피 자네는 수업료를 내야 할 걸세.
자네가 재판에서 이기면 나와의 계약대로,
지면 재판장의 판결대로 수업료를 내야 하지 않겠나.”

청년이 바로 응수했다.
“어차피 스승님은 수업료를 받지 못합니다.
스승님 말씀처럼 재판장이 수업료를 내라 하면 제가 재판에 진 것이니 안 내도 되고,
내지 마라 하면 재판장의 판결이니 그 또한 낼 이유가 없습니다.”

모순이나 이율배반(二律背反)은 논리적·사실적으로는 근거가 대등하면서
서로 양립할 수 없는 두 명제다.

모순과 이율배반이 생기는 건 내 기준으로,
내 이익으로만 세상을 재단하는 탓이다.
내게 이익이 되는 잣대만 쓰기 때문이다.
나의 이익만 쳐다보고,
자기주장만 내세우면 수시로 모순에 빠진다.
==
https://sgsg.hankyung.com/article/2018100549551
==
추천 0

작성일2022-08-12 20:40

슬기로운사생활님의 댓글

슬기로운사생활
모순과 이현령비현령 그리고 궤변


언어의 해석은, 함부로, 하는 것이 아니다.
언어를 함부로 해석하는 것을,
Misuse of language(언어오용)이라고 하는데…

만약에 말이다,
폭탄을 분해하는 지침서에 있는 단어를, 제멋대로 해석하면,
그것은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법조문에
‘소(牛)를 도살하지 말아라!’ 라고 되어있다면,
‘말(馬)은 얼마든지 도살하여도 된다.’ 는 소리가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위조화폐의 제조및 사용에 관한 형법조항에,
“위조화폐를 제조하여 사용한 자는 극형에 처한다!”
라고 되어 있으면…

위조화폐를 제조한 사람은 법에 저촉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제조만 하였지…사용을 하지는 않았으니까.)
사용한 사람도 법에 저촉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제조는 하지 않았고 단지 사용만 하였으니까…)

따라서,
이렇게 표기되어 있는 위조화폐에 관한 법률은, 있으나 마나다!

알고보면…
모든 재판이라는 것이, 결국은, 법조문을 놓고서,,
‘어떻게 교묘하게 해석하느냐?’에 대한 공방인 셈이다.

[펌]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게시물이 없습니다.
게시물 검색
* 게시일 1년씩 검색합니다. '이전검색','다음검색'으로 계속 검색할 수 있습니다.
** 본 게시판의 게시물에 대하여 회사가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