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욕설, 비방, 광고, 도배질 글은 임의로 삭제됩니다.

눈 건강 위협하는 황반변성…50대 사이 '급증'

페이지 정보

pike

본문





눈 건강 위협하는 황반변성…50대 사이 '급증'

노년층 실명을 유발하는 가장 큰 원인인 황반변성으로 치료받는 환자가 해마다 10%씩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환자는 14만명을 넘었고, 이 중 50대 이상이 94%를 차지했습니다.

29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 빅데이터에 따르면, 황반변성 환자는 2011년 9만1천명에서 2016년 14만6천명으로 5년간 61.2% 증가해 연평균 10.0%씩 늘었습니다.

연령대는 70대 이상이 7만9천636명(54.4%)으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60대 3만8천879명(26.5%), 50대 1만9천96명(13.0%), 40대 6천24명(4.1%) 순이었습니다.

황반변성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1년 431억원에서 2016년 931억원으로 연평균 16.7% 증가했습니다.

황반변성은 망막의 시세포가 집중된 황반(黃斑)이라는 신경조직에 변성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시력이 저하하고 물체가 찌그러져 보이는 증상을 동반하고 심해지면 실명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망막 세포층의 노화로 노폐물이 망막하층에 쌓일 때 병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나이 증가가 가장 큰 위험 인자이고 이 밖에도 흡연과 유전적 요인 등도 영향을 미칩니다.

초기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고령인 환자의 경우 노안으로 착각해 치료 시기를 놓치기 쉽습니다.

황반부는 시력의 초점이 맺히는 중심부이므로 이 부분에 변성이 생겼을 때는 욕실의 타일이나 중앙선 등의 선이 굽어 보이고, 사물의 중심이 까맣게

 보이거나 책이나 신문의 글자 사이에 공백이 보일 수도 있습니다. 또 물체가 찌그러져 보이고 색이나 명암을 구별하는 능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정은지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안과 교수는 "중심시력저하나 사물이 찌그러져 보이는 증상이 있을 때는 이른 시일 내에 안과에 안저검사를 받는 게 좋다"고 조언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 -- -- -- -- -- -- -- -

증상펌
[소중한빛안과] 이휘재도 앓은 황반변성이란??

추천 0

작성일2017-10-29 10:18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게시물이 없습니다.
게시물 검색
* 게시일 1년씩 검색합니다. '이전검색','다음검색'으로 계속 검색할 수 있습니다.
** 본 게시판의 게시물에 대하여 회사가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