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욕설, 비방, 광고, 도배질 글은 임의로 삭제됩니다.

위안부 진실에 대한 학술자료는 학술적 증거와 논리로 반박해야 한다, 매체의 선동은 해악의 재생산 산들강

페이지 정보

산들강

본문

1. 매체의 선동, 비판기사 도배

“위안부는 매춘? 얼빠진 논문” 하버드 동료 교수•학생들도 비난
美 학계서도 “충격적” “근거 부실” 비판 잇따라
이세영 기자
입력 2021.02.07 22:33 | 수정 2021.02.07 23:06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이 강제 동원된 성노예가 아닌 매춘이었다는 내용의 논문을 발표해 논란이 된 미국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를 향해 하버드 학내외에서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지난해 10월 독일 수도 베를린에서 시민들이 거리에 설치된 '평화의 소녀상'에 대한 당국의 철거명령에 항의하기 위해 미테구청 앞에서 집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하버드대 학내 신문인 ‘하버드 크림슨(The Harvard Crimson)’은 7일(현지 시각) ‘위안부가 일제에 자원했다는 하버드 교수의 논문이 국제적 논쟁을 불러일으켰다’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존 마크 램자이어 하버드대 교수 논문의 주장을 조목조목 비판했다.
신문은 한•미 다수의 법률학자, 역사학자들이 램자이어 교수의 주장에 몇가지 결함이 있다고 판단했으며 논문 출처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다고 보도했다. 하버드대에서 한국사를 가르치는 카터 에커티 교수는 램자이어 교수 주장에 대해 “경험적•역사적•도덕적으로 엄청나게 부족하다”고 평했다. 에커티 교수는 같은 대학 앤드루 고든 역사학과 교수와 함께 램자이어 교수의 논문을 반박할 저널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알렉시스 더든 코네티컷대 역사학과 교수는 램자이어 교수의 논문에 대해 “충격적”이라며 “근거 자료가 부실하고 학문적 증거를 고려할 때 얼빠진 학술작품”이라고 했다. 이어 “램자이어 교수는 앞뒤 사정이나 실제 무슨 일이 있었는지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해당 논문은 개념적으로 잘못된 이해를 바탕으로 쓰였다”고 했다.
일본군 위안부 역사를 연구해온 뉴욕시립대 사회학과 민병갑 교수는 램자이어 교수의 논문에 대해 “일본 제국주의의 논거에만 근거한 주장”이라며 “램자이어 교수는 일본군 위안부가 성노예라고 입증한 이전의 수많은 연구부터 반박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조지 W 부시 행정부에서 백악관 윤리담당 변호사를 지낸 리처드 페인터 미네소타대 로스쿨 교수는 트위터를 통해 “(램자이어 교수 논문에 따르면 일본군이 저지른) 강제 성착취가 단지 계약에 의한 것뿐이란 말인가”라고 반문하며 “추상적 이론과 대안적 사실이 진짜 사실을 왜곡할 때 벌어지는 일”이라고 썼다.
신문은 호사카 유지 세종대 교수 등을 인용해 램자이어 교수가 일제 전범기업 미쓰비시 그룹으로부터 후원을 받았을 가능성도 있다고 보도했다.
하버드대에 재학 중인 한인 학생들도 램자이어 교수를 비판했다. 하버드대 로스쿨 한인 학생회(KAHLS)는 지난 4일 성명을 내고 “(이번 논문이) 인권 침해와 전쟁 범죄를 의도적으로 삭제한 것을 강력하게 규탄한다”고 밝혔다. 미 전역의 법대 학생 800명도 이 성명에 동참했다. 하버드대 학부 한인 유학생회(KISA)는 대학 본부에 램자이어 교수의 사과를 요구하는 진정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램자이어 교수는 신문 인터뷰에서 “로스쿨 학생들의 책임. 이번 논문에 대해 학생들과 대화할 용의가 있다”고 하면서도 더는 일본군 위안부에 관한 연구를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앞서 램자이어 교수는 오는 3월 출간 예정인 학술지 ‘인터내셔널 리뷰 오브 로 앤드 이코노믹스’ 제65권에 ‘태평양전쟁에서의 성계약’(Contracting for sex in the Pacific War)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게재했다. 논문 정보 사이트에 실린 초록을 보면, 램자이어 교수는 위안부 여성들과 고용주인 위안소가 계약 관계였으며 그 계약의 역학 관계를 살펴보면 양자가 주어진 조건 하에서 상대와 상호작용하며 최대한의 이익을 추구한다는 ‘게임 이론’의 논리가 반영됐다고 주장했다.
램자이어 교수는 1954년 미국 시카고에서 태어나자마자 일본 미야자키현으로 이주해 18세까지 살았고 일본법과 법경제학을 전공했다. 미국 내 일본학 발전과 일본 사회•문화 이해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아 2018년 일본 정부로부터 훈장인 욱일장을 받기도 했다.
램자이어 교수의 주장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성노예로 규정한 국제 사회의 보편적 인식뿐만 아니라 일본 정부가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하고 사죄한 1993년 ‘고노 담화’와도 배치된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강제 성노예(enforced sex slaves)’라고 표현하는 것은 유엔의 권고 사항이다. 지난 1996년 채택된 유엔 인권위원회 보고서에 ‘성노예’라는 표현이 등장한 뒤부터 본격적으로 통용돼 왔다.

하바드 대학신문 그렘슨 원래 기사
사실보도, 끝에 번역본 첨부
기사는 서울에 계시는 투고자 분이 하바드로 전달함, ㅎㅎㅎㅎㅎㅎㅎ
그리고 , 서울에서 받아서 확대 재생산 합니다.

즉 논문에 대한 반박이 아니라, 논문을 반박하는 기사를 내 보냄

이런짓 좀 하지마라 , 창피합니다.

Harvard Professor’s Paper Claiming ‘Comfort Women’ in Imperial Japan Were Voluntarily Employed Stokes International Controversy
 
The Statue of Peace in front of the former Japanese Embassy in Seoul, South Korea commemorates comfort women, sex slaves taken by the Imperial Japanese Army during World War II. The slogans on the tarp behind the statue demand the Japanese government to make reparations. By Simon J. Levien
By Ariel H. Kim and Simon J. Levien, Crimson Staff Writers
February 7, 2021
SEOUL, South Korea — A paper by Harvard Law School Japanese legal studies professor J. Mark Ramseyer that claims sex slaves taken by the Imperial Japanese Army during World War II were actually recruited, contracted sex workers generated international controversy, academic criticism, and student petitions at Harvard this week.
The paper, “Contracting for Sex in the Pacific War,” made headlines across South Korean media and was met with widespread public anger. Ramseyer’s work is set to be published in the March issue of the International Review of Law and Economics. Korean outlets picked up the news after Ramseyer’s paper was featured in a Jan. 28 press release in Sankei Shimbun, a Japanese newspaper.
Well-known worldwide for its conservative, nationalist bent, Sankei shared Ramseyer’s abstract with his permission, while adding that memorials to “comfort women” across Asia have spread a “false image” of Japan.
“Comfort women” — a loose translation of a Japanese euphemism for “prostitute” — refers to women and girls forced into sex slavery by the Imperial Japanese Army. Comfort women were held at brothels, or “comfort stations,” adjacent to Japanese military facilities to serve soldiers. The number of women enslaved from Japan’s occupied territories is disputed, but estimates range from the tens of thousands to up to 410,000, with many being of Korean descent.
Since World War II, Japan has propped up and dissolved compensation funds, dealt with lawsuits and investigations, and issued and walked back apologies to comfort women. Of the few surviving comfort women today, many have said they are still waiting for justice.
The U.N. Commission on Human Rights, Amnesty International, and many notable scholars in Korea, Japan, the United States, and other countries have published extensive reports documenting the explicit sexual slavery of comfort women.
Ramseyer argues in his paper that comfort women were not coerced, but voluntarily employed under the terms of a contract.
Based on the title of Ramseyer’s professorship — the Mitsubishi Professor of Japanese Legal Studies — many Korean media outlets and scholars suspected that he may be sponsored by the Japanese corporation.
Yuji Hosaka — a political science professor at Sejong University in Seoul often cited in Korean press — suggested in an interview the possibility that Mitsubishi donated money to the University to establish the professorship and give Ramseyer this role.
ADVERTISEMENT
In an interview with The Crimson Friday, Ramseyer said he is not aware of the precise origin of the endowed professorship, but believes that Mitsubishi Group made an approximately $1.5 million donation to Harvard in the 1970s to back the position. He said, however, that there are “no strings” or money from Mitsubishi attached to his professorship today.
Spokespeople for the University and the Law School did not respond to a request for comment.
Hosaka also said he suspected Ramseyer’s work was influenced by his connections with the Japanese government. Ramseyer, who was raised in Japan, was awarded the Order of the Rising Sun in 2018, a Japanese government distinction for those who promote Japanese culture abroad.
Ramseyer acknowledged that he has friends who work for the Japanese government, but “absolutely” denied that those connections or the award had any influence on the paper.
Academics Question Paper’s Reasoning and Sources
Legal scholars and historians from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aid Ramseyer’s paper had several flaws in its reasoning and raised questions about the sources he used to back up those arguments.
Harvard Professor of Korean History Carter J. Eckert ’68 wrote in an emailed statement that Ramseyer’s article is “woefully deficient, empirically, historically, and morally.”
Eckert added that he and fellow Harvard History professor Andrew Gordon ’74 are preparing a critical response to Ramseyer’s article at the request of the journal.
University of Connecticut professor of Japanese and Korean history Alexis Dudden — who said she took a class taught by Ramseyer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in the 1990s — said she was “shocked” when Ramseyer emailed her the article in December.
“It is a poorly resourced, evidentially fatuous piece of scholarly production,” she said. “It is conceptually misguided, because he’s not understanding not only the context, but what actually happened.”
ADVERTISEMENT
Dudden said after reading the article, she wrote to Ramseyer, responding to inaccuracies she noticed in his logic.
Among the first things she noticed, she said, was that Ramseyer omitted “an intense body of scholarly archival Government of Japan evidence.”
Pyong Gap Min — a sociology professor at Queens Colleg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who has researched comfort women — said that Ramseyer based his claims solely off of Japanese “neo-national arguments.”
“He has the burden to refute previous studies that have demonstrated the comfort women system as sexual slavery,” he said.
Ramseyer said an early version of his paper included “disputes with historians,” but those sections were cut from the final version at the request of the journal in order to focus the article on the contracts.
The journal’s editors did not respond to a request for comment Saturday.
Several scholars also said they took issue with two of Ramseyer’s main arguments in the article.
The first is his claim that recruiters and brothel operators, rather than the Japanese government or military, were responsible for forcing women to work at the comfort stations.
“Ramseyer made the error of completely ignoring the fact that these recruiters were working under Japanese military or government orders,” Hosaka said in an interview conducted in Korean.
Japanese government documents provide evidence that the Japanese military secretly selected independent recruiters and forced them to operate comfort stations, Hosaka added.
ADVERTISEMENT
Professor Seo Kyoung-duk, who teaches at Sungshin Women’s University in Seoul, said he agreed with Hosaka, citing a 1938 Japanese ministry notice on recruiting women to comfort stations.
Responding to the evidence that Hosaka, Seo, and other scholars have cited in their research, Ramseyer said the notion that there are documents confirming Japanese government involvement is “just wrong.”
“I don’t see anything that indicates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dragooned people into doing it,” he said.
Asked why he did not cite any Korean sources in the paper, Ramseyer said he is “very upfront” about the fact that he does not read Korean.
Several academics also disputed another one of Ramseyer’s claims in the paper: that comfort women willingly entered brothel contracts, from which they financially benefited, and after which they were able to return home.
“The comfort women system that the army was using is essentially an extension of the licensed prostitution system that was in effect in Japan,” Ramseyer said in the interview.
Hosaka argued, however, that the “comfort stations” that accompanied the Japanese military during WWII and the licensed brothels in Japan are entirely different.
Harvard Law School professor Noah R. Feldman ’92, who has studied comfort women and contract theory, also said Ramseyer’s claim is incorrect.
“The economic relationship that was deployed, even according to Ramseyer’s own research, is very close to what we would ordinarily call debt slavery,” Feldman said, comparing it to sharecropping contracts in the Jim Crow American South. “Such arrangements are designed to and do exploit the vast power discrepancy between different actors and institutions.”
Katharine H.S. Moon, a professor of Asian studies and political science at Wellesley College, wrote in an emailed statement that Ramseyer’s claim ignores the context in which women entered into contracts.
ADVERTISEMENT
“How do we explain whether a 14- or 16-year-old girl knew what she was signing even if she signed it, especially in a Korean society at the time that was not accustomed to contracts and related legalism and didn’t grant such agency to girls and women?” Moon wrote.
Students React with Anger, Petitions
The Korean Association of Harvard Law School, led by law students Gabrielle J. Kim and Kikyung “Kik” Lee, released a statement Thursday condemning Ramseyer’s article as “factually inaccurate and misleading.” As of Saturday morning, the statement garnered more than 800 signatures, many from law students across the U.S.
The Harvard College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Association also sent a press release to Korean newspapers Friday morning criticizing Ramseyer’s paper and laying out actions the organization plans to take in protest.
KISA also plans to send out a petition to Harvard affiliates, according to Yumi Lee ’21, one of its co-presidents.
Lee said the petition will contain a list of demands to Ramseyer, University administrators, and the academic journal publishing Ramseyer’s article. It will request that Ramseyer apologize “to comfort women for whom his claims may have reinforced painful trauma” and “to the Harvard University community for injuring the institution’s reputation and standards for academic soundness,” she said.
Lee also said KISA will demand that University President Lawrence S. Bacow and Law School Dean John F. Manning ’85 condemn Ramseyer’s research, and that the journal apologize for not upholding a rigorous peer review process and withdraw the article from its upcoming issue.
In a separate email to members Friday, KISA wrote that the Korean Consulate General in Boston is “aware of the situation” and may use KISA’s statement in an official communication. The consulate did not respond to a request for comment Friday.
Several Harvard undergraduates said they reacted with disbelief and disappointment when they first encountered news of the article in South Korean media.
“It was all over the news,” Alyssa Suh ’25, who currently resides in Seoul, said. “I was extremely angry and upset when I first saw that. We were colonized, and they don’t acknowledge that.”
ADVERTISEMENT
“No one really knows about this piece of history in the States. The amount of Korean history that we learn is literally a paragraph,” Suh added.
Ike Jin Park ’20-’22 said if the history surrounding comfort women was more well-known in the U.S., there would be a greater outcry from students.
“As a Korean citizen myself, I was very uncomfortable,” Park said. “Imagine this was another issue that a lot of people in the West cared about. It simply wouldn’t be okay.”
Park also said he believes the University “needs to make a statement” and that he would like to see the paper taken down.
Esther E. Kim ’23 said she believes the article will damage Harvard’s reputation among Koreans.
“Especially because there is a lot of respect afforded to institutions like Harvard by the Korean community, by the Korean-American community, it is devastating to see that this could be accepted and published by a Harvard Law School professor,” she said.
Responding to student backlash, Ramseyer said he has a “responsibility to the students at the Law School” and is willing to speak with them about the paper.
Ramseyer also said he does not intend to pursue further research on this topic.
Though many scholars said they disagree with Ramseyer’s claims, several noted Ramseyer is protected by academic freedom to promote his opinions.
“His academic freedom entitles him to express whatever views he wishes without any form of university-based sanction,” Feldman said.
ADVERTISEMENT
Law School professor Jeannie Suk Gersen wrote in an emailed statement that she was “proud” that HLS student organizations had released the statement “affirming the need to be historically accurate.”
“They have refrained from petitioning for measures that would impair my colleague’s academic freedom, and I would of course disapprove of any such calls,” she wrote.
“He has every right to his opinions and viewpoint, and we all equally have every right to criticize his reasoning and logic,” Gersen added.
—Staff writer Dohyun Kim contributed translation to this story.
—Staff writer Ariel H. Kim can be reached at ariel.kim@thecrimson.com.
—Staff writer Simon J. Levien can be reached at simon.levien@thecrimson.com. Follow him on Twitter @simonjlevien.
일본 제국에서 '위안부'가 자발적으로 고용되었다고 주장하는 하버드 교수의 논문 Stokes International Controversy
 
서울에있는 전 일본 대사관 앞에있는 평화의 여신상은 제 2 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제국군이 납치 한 성 노예 인 위안부를 기념합니다. 동상 뒤에있는 방수포의 구호는 일본 정부에 배상을 요구합니다. 으로 사이먼 J. Levien
으로 아리엘 H. 김 과 사이먼 J. Levien , 크림슨 직원 작가
2021 년 2 월 7 일
SEOUL, South Korea — Harvard Law School 일본 법학 교수 J. Mark Ramseyer의 논문에서 제 2 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 제국군에 잡힌 성 노예가 실제로 모집되었고, 계약 된 성 노동자들이 국제 논란, 학업 비판, 학생 청원을 일으켰다 고 주장했습니다. 이번 주 하버드에서.
'태평양 전쟁에서 성관계를위한 계약'이라는 신문은 한국 언론의 헤드 라인을 장식했고 대중의 분노를 만났습니다. Ramseyer의 작업은 국제법과 경제 검토의 3 월호에 게재 될 예정입니다. 램 지어의 신문이 일본 신문 산케이 신문의 1 월 28 일 보도 자료에 실린 후 한국 언론이 뉴스를 접했다.
보수적이고 민족주의적인 경향으로 전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산케이는 그의 허락을 받아 램 지어의 초록을 공유했으며, 아시아 전역에 걸쳐 "위안부"에 대한 기념비가 일본의 "거짓 이미지"를 퍼뜨렸다 고 덧붙였다.
"위안부"( "매춘부"에 대한 일본 완곡 어의 느슨한 번역)는 일본 제국군에 의해 성 노예로 강요된 여성과 소녀를 의미합니다. 위안부들은 군인들을 섬기기 위해 일본 군사 시설에 인접한 매춘 업소 또는“위안소”에서 구금되었습니다. 일본의 점령지에서 노예가 된 여성의 수는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추정치는 수만명에서 최대 41 만명에 이르며 많은 사람들이 한국계이다.
제 2 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은 보상금을 마련하고 해산하고 소송과 수사를 처리하고 위안부에게 사과를 걸었다. 오늘날 살아남은 몇 안되는 위안부 중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정의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유엔 인권위원회, 국제 앰네스티, 그리고 한국, 일본, 미국 및 기타 국가의 많은 저명한 학자들은 위안부의 명시적인 성 노예를 기록한 광범위한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Ramseyer는 그의 논문에서 위안부들이 강요된 것이 아니라 계약 조건에 따라 자발적으로 고용되었다고 주장합니다.
Ramseyer의 교수직 (미쓰비시 일본 법학 교수)의 직함을 바탕으로 많은 한국 언론과 학자들은 그가 일본 기업의 후원을받을 수 있다고 의심했습니다.
한국 언론에서 자주 인용되는 서울 세종 대학교 정치학 교수 호사카 유지는 인터뷰에서 미쓰비시가 교수직을 설립하고 램 지어에게이 역할을 부여하기 위해 대학에 돈을 기부했을 가능성을 제안했다.
광고
The Crimson Friday와의 인터뷰에서 Ramseyer는 기증 된 교수직의 정확한 기원을 알지 못하지만 Mitsubishi Group이 그 자리를 뒷받침하기 위해 1970 년대에 Harvard에 약 150 만 달러를 기부했다고 믿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오늘날 그의 교수직에 붙어있는 미쓰비시로부터의“현금”이나 돈이 없다고 말했다.
대학과 로스쿨 대변인은 논평 요청에 응답하지 않았습니다.
Hosaka는 또한 Ramseyer의 작업이 일본 정부와의 관계에 영향을 받았다고 의심한다고 말했습니다. 일본에서 자란 Ramseyer는 해외에서 일본 문화를 홍보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일본 정부가 인정하는 2018 년에 떠오르는 태양 훈장을 받았습니다.
Ramseyer는 일본 정부에서 일하는 친구가 있다는 것을 인정했지만, 그러한 인맥이나 상이 신문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절대적으로”부인했습니다.
학술 질문지의 추론 및 출처
한국과 미국의 법학자와 역사가들은 Ramseyer의 논문이 추론에 몇 가지 결함이 있다고 말하면서 그가 그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데 사용한 출처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Harvard 한국사 교수 Carter J. Eckert '68은 Ramseyer의 기사가“엄청나게 부족하고, 경험적으로, 역사적으로, 그리고 도덕적으로”라고 이메일 성명에서 썼습니다.
Eckert는 그와 동료 하버드 역사 교수 인 Andrew Gordon '74가 저널의 요청에 따라 Ramseyer의 기사에 대한 비판적인 응답을 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코네티컷 대학의 일본과 한국사 교수 인 알렉시스 더든 (1990 년대 시카고 대학에서 램 지어가 가르친 수업을 들었다고 말함)은 램 지어가 12 월에 그녀에게 기사를 이메일로 보냈을 때 "충격"했다고 말했다.
그녀는“자원이 부족하고 증거 적으로도 지루한 학술 제작물입니다. "그는 맥락뿐만 아니라 실제로 무슨 일이 일어 났는지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개념적으로 잘못된 것입니다."
광고
Dudden은 기사를 읽은 후 Ramseyer에게 편지를 보내 그의 논리에서 발견 한 부정확성에 답했습니다.
그녀가 가장 먼저 알아 차린 점 중 하나는 Ramseyer가 "일본 정부의 학술 기록의 강렬한 증거"를 생략했다는 것입니다.
위안부를 연구해온 뉴욕 시립 대학교 퀸즈 대학 사회학 교수 인 평 갑민은 램 지어가 일본의“신 국가적 주장”에만 근거한 주장을했다고 말했다.
그는“위안부 제도를 성 노예로 입증 한 이전 연구를 반박 할 부담이있다”고 말했다.
Ramseyer는 그의 논문의 초기 버전에는“역사와의 분쟁”이 포함되어 있지만 해당 섹션은 계약에 대한 기사의 초점을 맞추기 위해 저널의 요청에 따라 최종 버전에서 잘라 냈습니다.
저널 편집자들은 토요일 논평 요청에 응답하지 않았습니다.
몇몇 학자들은 또한 기사에서 Ramseyer의 두 가지 주요 주장에 문제를 제기했다고 말했습니다.
첫 번째는 일본 정부 나 군대가 아닌 채용 담당자와 매춘 업소 운영자가 여성이 위안소에서 일하도록 강요 한 책임이 있다는 그의 주장입니다.
Hosaka는 한국어로 진행된 인터뷰에서“Ramseyer는 이들 모집 자들이 일본군 또는 정부 명령에 따라 일하고 있다는 사실을 완전히 무시하는 실수를 저질렀습니다.
일본 정부 문서는 일본군이 비밀리에 독립적 인 신병 모집 자들을 선택하고 그들이 위안소를 운영하도록 강요했다는 증거를 제공한다고 Hosaka는 덧붙였다.
광고
서울에있는 성신 여자 대학교에서 가르치는 서경덕 교수는 1938 년 일본에서 여성을 위안소에 모집하는 것에 관한 고시를 인용하면서 호사카와 동의했다고 말했다.
Hosaka, Seo 및 다른 학자들이 그들의 연구에서 인용 한 증거에 대해 Ramseyer는 일본 정부의 개입을 확인하는 문서가 있다는 개념은 "그냥 틀렸다"고 말했다.
그는“일본 정부가 사람들을 끌고 갔음을 시사하는 어떤 것도 보지 못했다”고 말했다.
램 지어는 신문에 한국 자료를 인용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자신이 한국어를 읽지 않는다는 사실에 대해“매우 솔직하다”고 말했다.
몇몇 학자들은 또한 신문에서 Ramseyer의 또 다른 주장 중 하나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습니다. 위안부들이 기꺼이 매춘 업소 계약에 들어갔고, 그로부터 재정적으로 혜택을 받고, 집으로 돌아갈 수있었습니다.
램세 이어는 인터뷰에서“군이 사용하던 위안부 제도는 본질적으로 일본에서 시행 된 허가 된 매춘 제도의 연장 선상에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호사카는 제 2 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과 일본의 허가받은 매춘 업소에 동행했던 '위안소'는 완전히 다르다고 주장했다.
위안부와 계약 이론을 연구 한 하버드 로스쿨의 Noah R. Feldman '92 교수도 Ramseyer의 주장이 틀렸다고 말했습니다.
“Ramseyer 자신의 연구에 따르면 배치 된 경제적 관계는 우리가 보통 부채 노예라고 부르는 것과 매우 유사합니다. "이러한 배치는 서로 다른 행위자와 기관 간의 막대한 권력 불일치를 활용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Wellesley College의 아시아 학 및 정치학 교수 인 Katharine HS Moon은 램 지어의 주장이 여성이 계약을 체결 한 맥락을 무시한다고 이메일 성명을 썼습니다.
광고
“14 세 또는 16 세 소녀가 서명을하더라도 자신이 서명 한 내용을 알고 있었는지, 특히 계약 및 관련 율법주의에 익숙하지 않은 당시 한국 사회에서이를 승인하지 않았는지 어떻게 설명 할 수 있습니까? 소녀들과 여성들에게 에이전시?” 문이 썼다.
학생들은 분노와 청원에 반응합니다
법대생 Gabrielle J. Kim과이기 경“Kik”이 이끄는 하버드 로스쿨 한국 협회는 목요일에 Ramseyer의 기사가“사실상 부정확하고 오해의 소지가있다”고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토요일 아침이 성명은 미국 전역의 법대생들로부터 800 명이 넘는 서명을 받았습니다.
하버드 대 한인 유학생 회는 금요일 아침 램 지어의 신문을 비판하고 조직이 항의 할 계획을 제시하는 보도 자료를 한국 신문에 보냈다.
KISA는 또한 하버드 계열사에 청원서를 보낼 계획이라고 공동 대표 인 이유미 '21에 따르면.
Lee는 청원서에 Ramseyer, 대학 행정관 및 Ramseyer의 기사를 출판하는 학술지에 대한 요구 목록이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녀는 Ramseyer가 "그의 주장이 고통스러운 트라우마를 강화했을 수있는 위안부"에게 사과하고 "학업 건전성에 대한 기관의 명성과 표준을 해친 것에 대해 하버드 대학 커뮤니티에"사과 할 것을 요청할 것입니다.
이씨는 또한 KISA가 Lawrence S. Bacow 대학 총장과 John F. Manning '85 로스쿨 학장이 Ramseyer의 연구를 비난 할 것을 요구할 것이며 저널은 엄격한 피어 리뷰 프로세스를 유지하지 않은 것에 대해 사과하고 다가오는 호에서 기사를 철회 할 것이라고 말했다.
KISA는 금요일 회원들에게 보내는 별도의 이메일에서 보스톤 주재 총영사관이“상황을 인식하고있다”며 공식 커뮤니케이션에 KISA의 진술을 사용할 수 있다고 썼다. 영사관은 금요일 논평 요청에 응답하지 않았습니다.
몇몇 하버드 학부생들은 한국 언론에서이 기사에 대한 뉴스를 처음 접했을 때 불신과 실망으로 반응했다고 말했다.
현재 서울에 거주하고있는 Alyssa Suh '25는“모든 뉴스가 보도되었다. “처음봤을 때 매우 화가 나고 속상했습니다. 우리는 식민지화되었고 그들은 그것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광고
“미국에서이 역사에 대해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우리가 배우는 한국 역사의 양은 말 그대로 문단입니다.
박이진 '20 -'22는 위안부 역사가 미국에서 더 잘 알려지면 학생들의 외침이 더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씨는“한국 시민으로서 나도 매우 불편했다”고 말했다. “서구의 많은 사람들이 신경 쓰는 또 다른 문제라고 상상해보십시오. 단순히 괜찮지 않을 것입니다.”
박씨는 또한 대학이“성명을해야한다”고 믿고 있으며 논문이 철거되는 것을보고 싶다고 말했다.
Esther E. Kim '23은이 기사가 한국인들 사이에서 하버드의 명성을 훼손 할 것이라고 믿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한인 사회와 한인 사회로부터 하버드와 같은 기관에 대한 존경심이 많기 때문에 하버드 법대 교수가이를 받아 들여 출판 할 수 있다는 사실은 참담하다”고 말했다.
학생의 반발에 대응하여 Ramseyer는 "로스쿨 학생들에 대한 책임"이 있으며 신문에 대해 기꺼이 그들과 이야기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Ramseyer는 또한이 주제에 대해 더 이상의 연구를 추구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많은 학자들이 Ramseyer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말했지만, 몇몇 유명한 Ramseyer는 자신의 의견을 홍보 할 수있는 학문적 자유로 보호 받고 있습니다.
“그의 학문적 자유는 그가 어떤 형태의 대학 기반 제재도없이 원하는 모든 견해를 표현할 수있는 권한을 부여합니다.”라고 Feldman은 말했습니다.
광고
법대 교수 인 Jeannie Suk Gersen은 HLS 학생 단체가“역사적으로 정확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한 성명을 발표했다는“자랑스러운”성명을 이메일로 썼습니다.
그녀는“그들은 내 동료의 학문적 자유를 해칠 수있는 조치에 대한 청원을 자제했으며, 물론 그러한 요청을 거부 할 것입니다.”라고 썼습니다.
"그는 그의 의견과 관점에 대한 모든 권리를 가지고 있으며 우리 모두는 그의 추론과 논리를 비판 할 모든 권리를 똑같이 가지고 있습니다."라고 Gersen은 덧붙였습니다.
— 김도현 스태프 작가가이 이야기에 번역을 기고했습니다.
— 직원 작가 Ariel H. Kim은 ariel.kim@thecrimson.com으로 연락 할 수 있습니다.
— 직원 작가 Simon J. Levien은 simon.levien@thecrimson.com으로 연락 할 수 있습니다. Twitter @simonjlevien에서 그를 팔로우 하십시오 .
추천 0

작성일2021-02-08 09:43

sansu님의 댓글

sansu
이 교수의 관점은 일본 측에서 보는 아주 편협한 주관이라 본다. 한국이 관련돼 있는데 한국 쪽의 의견도 돌어 보고
좀 객관적인 관점을 피력해 주길 바란다.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게시물이 없습니다.
게시물 검색
* 게시일 1년씩 검색합니다. '이전검색','다음검색'으로 계속 검색할 수 있습니다.
** 본 게시판의 게시물에 대하여 회사가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