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욕설, 비방, 광고, 도배질 글은 임의로 삭제됩니다.

풀바셋 성공시킨 매일유업 회장

페이지 정보

pike

본문








폴바셋 성공시킨 재계 대표 미식가 김정완 매일유업 회장

지난해 매일유업은 서울우유를 제치고 처음으로 업계 1위 자리에 올랐다. 유(乳)업계의 어려움 속에서도 회사를 성장시키고 있는 김정완 회장의 경영비결은 무엇일까?



김정완 회장(왼쪽)은 사업다각화를 위해 커피 사업에 진출했다. 폴바셋은 공격적인 매장 확장과 인재 채용 등으로 흑자를 이어가며 개점 이후 103%의 연평균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 사진제공·매일유업
최근 증권사들은 매일유업 목표 주가를 상향 조정하고 있다. 신한금융투자는 기존 5만2000원에서 6만원으로, 미래에셋대우는 4만8600원에서 5만9000원으로 올렸다. 지주사 체제 전환에 따른 기대감 때문이다. 매일유업은 지난 5월1일 지주회사인 매일홀딩스와 사업 회사인 매일유업으로 인적 분할했다. 이번 분할로 시장에서는 매일유업의 기업가치가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그동안 매일유업 자회사인 유아동용품 기업인 제로투세븐과 커피전문점 폴바셋을 운영하고 있는 엠즈씨드 등의 수익성 부진이 전체 실적과 주가에 부담으로 작용해왔기 때문이다. 오경석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그동안 매일유업 종속기업의 실적이 부진해 기업가치를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다”며 “이번 지주사 체제 전환으로 매일홀딩스와 매일유업 합산 적정가치는 8315억원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지난 4월28일 매일유업의 주가는 5만4000원, 시가총액은 7365억원이다. 매일유업은 회사 분할로 지난 4월28일부터 6월4일까지 매매거래 정지 상태다. 6월5일 재상장된다.

김정완(60) 매일유업 회장은 매일홀딩스 대표를 맡는다. 매일홀딩스는 자회사의 지분 관리와 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지주회사다. 주류를 수입하는 ‘레뱅드매일’, ‘엠즈씨드’ 등 모든 자회사와 손자회사가 매일홀딩스에 귀속된다. 매일유업의 본업인 유가공 제품의 개발·생산·판매는 사업회사인 매일유업이 전담한다. 매일유업은 김 회장의 사촌 동생인 김선희 매일유업 사장이 맡는다. 김 회장은 고(故) 김복용 매일유업 창업주의 장남으로 보성고, 경희대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이후 미국 N.C.웨슬리언(Wesleyan)대에서 경영학 석사를 취득했다. 지난 1986년 6월 매일유업에 입사하면서 경영수업을 받기 시작했다. 2006년 선대 회장으로부터 매일유업을 물려받은 후 2010년 회장직을 맡아 지금껏 그룹을 이끌고 있다.


폴바셋은 세계 바리스타 챔피언십(WBC)에서 최연소로 우승한 호주 바리스타의 이름을 딴 브랜드다. 김 회장이 직접 폴 바셋에게 사업을 제안했다.
몇 년째 유(乳)업계는 불황에 시달리고 있다. 원유 재고량이 늘고 있어서다. 낙농진흥회 통계에 따르면 2010년 1050t이었던 국내산 우유(분유) 재고는 지난해 말 기준 1만9995t으로 20배 가까이로 늘어났다. 한국 원유 수취가격은 ℓ당 1100원으로 300~400원대인 유럽에 비해 높다. 여기에 저출산과 소비 감소 등으로 우유 소비량이 감소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흰 우유 소비량은 2012년 140만5000t에서 지난해 138만4000t으로 줄었다.

김 회장은 유업계의 어려움 속에서도 회사를 성장시키고 있다. 매일유업은 2012년 1조723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매출 1조 클럽’에 첫 가입했다. 이듬해에는 라이벌 회사인 남양유업의 매출을 넘어섰다. 매일유업의 지난해 매출은 1조6347억원으로 전년 대비 6%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44.5% 증가한 525억7000만 원을 기록했다. 매일유업 매출은 김 회장의 취임 첫해보다 80% 가까이 신장했다. 또 지난해에는 매출 기준으로 서울우유를 제치고 처음으로 업계 1위 자리에 올랐다.

김 회장의 시계는 10년 후로 맞춰져 있다. 그는 “나에게 1년, 2년 후는 미래가 아니라 과거”라며 “10년 후 시장을 내다봐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는 유업계 불황에서도 비용을 줄이기 보단 신성장 사업을 육성해 위기를 돌파하고 있다. 이는 그의 경영철학인 ‘도전’과 ‘개척’과 맞닿아 있다. 불황 타개책으로 시작한 사업 중 하나가 커피다.

그는 커피 애호가다. 평소에 커피를 즐겨 마시는 것은 물론, 좋은 원두를 사용하거나 특이한 방식으로 커피를 내리는 곳이 있으면 직접 찾아가기도 한다. 그는 2009년 신세계 강남점에 커피 전문점인 폴바셋 1호점을 열었다. 폴바셋은 세계 바리스타 챔피언십(WBC)에서 최연소로 우승한 호주 바리스타의 이름을 딴 브랜드다. 김 회장이 직접 폴 바셋에게 사업을 제안했다.

당시 소비자들에게 아메리카노(Americano)·카페라떼(Cafe latte)·카푸치노(Cappuccino)와 같은 커피 음료는 익숙한 지 오래였다. 또 커피시장은 포화상태인 만큼 매일유업의 폴바셋이 성공할지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많았다. 그러나 김 회장은 차별화와 품질로 커피시장을 공략했다. 폴바셋은 바셋이 고른 원두만 사용하고 그의 방식대로 커피를 추출한다. 일반 커피 전문점의 아메리카노 대신 에스프레소보다 30초 정도 길게 추출하는 롱고를 기본 커피로 판매한다. 매일유업 제품군을 적극 활용해 카페라떼 메뉴에선 저지방 2종(1%, 2%), 무지방 우유, 소화가 잘되는 우유 등을 선택할 수 있다는 점도 특징이다. 가격도 스타벅스·커피빈 등 커피 브랜드 업체보다 10∼20% 높은 고가 전략을 펼쳤다
추천 0

작성일2017-10-08 08:13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게시물이 없습니다.
게시물 검색
* 게시일 1년씩 검색합니다. '이전검색','다음검색'으로 계속 검색할 수 있습니다.
** 본 게시판의 게시물에 대하여 회사가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