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욕설, 비방, 광고, 도배질 글은 임의로 삭제됩니다.

무자식 상팔자` 부부끼리 사는 노인, 자녀동거 노인보다 만족↑

페이지 정보

pike

본문

한국 삶 만족도 상승했지만 행복지수 세계 59위, 미국·일본보다 낮아
국민 절반 '코로나 영원히 안 끝날듯'…택배는 평균 주 1.4회 이용
'무자식 상팔자' 부부끼리 사는 노인, 자녀동거 노인보다 만족↑(CG) [연합뉴스TV 제공]

(세종=연합뉴스) 차지연 곽민서 기자 = 부부끼리 사는 노인 가구가 자녀와 함께 사는 노인 가구나 혼자 사는 노인 가구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의 행복지수는 미국, 일본보다 낮은 세계 59위 수준이었다. 연령대별 삶의 만족도는 30대가 가장 높고 50∼60대는 낮았다.

국민 절반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이 영원히 끝나지 않을 것 같아 두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삶에 만족한다' 노인 부부가구 53%, 자녀 동거가구 47%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22'에 따르면 노인 가구 중 노인 부부가구가 자녀 동거가구보다 전반적인 삶의 질 수준, 건강, 자녀관계, 친구·지역사회 관계 만족도가 높았다.

2020년 조사에서 전반적인 삶에 대해 '만족한다'고 응답한 비중은 노인 부부가구가 52.9%, 자녀 동거가구가 47.3%, 노인 독거가구가 42.6%였다.

노인 부부가구 중 노후 생활비 마련을 '자녀'에게 의지하겠다는 응답 비중은 2011년 10.2%에서 2020년 4.2%로 줄었다. 자녀 동거가구(18.8→5.3%), 노인 독거가구(18.2→5.4%)도 마찬가지였다.

대신 '본인 스스로' 마련하거나 '본인과 사회보장제도'의 도움을 받겠다는 응답이 전반적으로 늘었다.

고령화가 지속되면서 2020년 기준으로 전국 시군구 229곳 중 44.5%(102곳)는 '소멸위험지역'(20∼39세 여성 인구수를 65세 이상 인구수로 나눈 값인 소멸위험지수가 0.5 미만인 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삶의 만족도 [통계청 제공]

한국인 삶 만족도 높아졌지만 행복지수는 세계 59위

한국인의 삶의 만족도 평균 점수(10점 만점)는 2013년 5.7점, 2018년 6.1점, 2021년 6.3점으로 완만히 높아지고 있다.

연령대별로는 30대가 높고, 노후 불안을 겪는 50대와 60대는 낮았다.

아동·청소년 만족도는 6.6점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꼴찌였다. 한국을 제외한 OECD 주요국 평균은 7.6점이다.

추천 0

작성일2022-12-12 21:33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게시물이 없습니다.
게시물 검색
* 게시일 1년씩 검색합니다. '이전검색','다음검색'으로 계속 검색할 수 있습니다.
** 본 게시판의 게시물에 대하여 회사가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