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욕설, 비방, 광고, 도배질 글은 임의로 삭제됩니다.

저승을 우리 영토로 만든 과학자들

페이지 정보

jorge

본문

저승을 우리 영토로 만든 과학자들

섬을 뜻하는 한자를 보자.
섬 도(島)는 바다에서 새(鳥)가 앉아있는 산(山)이고,
섬 서(嶼)는 도(島)에 더불어(與) 있는 산(山)이다.
둘을 구분하는 기준은 사람이다.
사람이 살 수 있는 큰 섬은 도(島),
살 수 없는 작은 섬은 서(嶼)다.
그래서 도서(島嶼)는 ‘크고 작은 온갖 섬’을 뜻한다.

물에 잠겨 섬이 되지 못하는 바위를 초(礁)라 한다.
잠길 듯 말 듯 아슬아슬 애를 태우는(焦) 바위(石)다.
드러난 바위가 노초(露礁), 잠긴 바위가 암초(暗礁)다.
배가 다니다가 초(礁)에 올라앉으면 좌초(坐礁)다.

그러면 밀물에 잠기고 썰물에 드러나는 바위를 뭐라고 할까?
간출암(干出巖)이다.
초(礁)에 해당하는 우리말은 ‘여’다.
물에 잠겨 보이지 않는 바위다.
썰물에 드러나는 바위가 ‘잠길여’,
드러나지 않는 바위가 ‘속여’다.
물때에 따라 잠기느냐 드러나느냐를 놓고
이름을 다르게 붙인 것이다.
같은 뜻인 여와 초와 rock을 비교해 보면
우리 민족이 바다를 얼마나 유심히 관찰했고,
우리 말이 얼마나 과학적으로 만들어졌는지 알 수 있다.

제주 사람들은 아주 오래전부터 마라도 서남쪽 149km 지점에
매우 큰 여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동서로 1.4km, 남북으로 1.8km의 크기(수심 50m 기준)에
가장 높은 곳이 수심 4.6m 정도라,
파도가 매우 사나워지면 가끔 모습을 드러내기도 한다.

그들은 이 여를 ‘여섬’이라 불렀다.
여섬은 용궁으로 떠나는 ‘나루터’였다.
그물질 나간 어부나 물질 나선 해녀가 돌아오지 않으면
여섬에 들러 용궁으로 갔다고 믿었다.
여섬은 바닷속에 있는 ‘저쪽 언덕’, 곧 피안(彼岸)이었던 것이다.
소설가 이청준의 작품에는 ‘여섬을 본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섬을 본 사람은 모두가 섬으로 가버렸기 때문이다’라고 표현돼 있다.

민담 속의 여섬이 역서의 수면 위로 드러난 것은 100년쯤 전이다.
영국 해군이 소코트라 록(Socotra Rock)이라 부른 데 이어
난데없이 일본이 파랑도(波浪島)라는 딱지를 붙였다.
제주대와 KBS는 1984년 공동탐사를 통해
소코트라 록과 파랑도가 여섬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3년 뒤 해운항만청이 부표를 설치하고
2001년 국립지리원이 지명을 확정하면서
여섬은 공식 명칭을 갖게 됐다.' 이어도'다.
장모음 '여'를 '이어(離於)'로 쓰고, '섬'을 도(島)로 붙인 것이다.

1993년 김시중 과학기술처 장관은
해양연구소 이동영 박사의 건의를 받아들여
10년 만에 어어도 해양과학기지를 건설했다.
20년 뒤인 지금 벌어지고 있는
동아시아의 해양 분쟁을 내다본 선견지명(先見之明)이다.

해양과학기지 건설을 주도한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심재설 박사는 말한다.
“분쟁이라고요?
세계적으로 알 만한 해양학자들은
이어도가 한국의 영토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습니다.
해양과학기지가 생긴 뒤 이어도에 관한 논문이
매년 30편 정도 국제학술지에 실리고 있고,
NASA(미국항공우주국)에도 이어도에서 관측한
해양기상정보가 시시각각 업데이트되고 있습니다.
이 논문과 자료에 ‘이어도 코리아(Ieodo Korea)’라는
출처가 따라 붙습니다."
 
옛날 제주도의 한 마을에 부부가 살고 있었습니다. 하루는 남편이 배를 타고 나갔는데, 아무리 기다려도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남편이 탄 배는 풍랑을 만나 낯선 무인도에 도착했던 것입니다. 남편을 기다리던 아내는 어느 날 늙은 시아버지에게 말했습니다.
“아버님, 배 한 척만 지어주시겠습니까?”
“뭘 하려고 그러니?”
“남편을 찾으러 가겠습니다.”
시아버지는 며느리의 소원을 들어주기 위해 산에 가서 나무를 베어 배를 만들었습니다. 어느 화창한 날, 아내와 시아버지는 배를 타고 남편이 살고 있는 이어도로 향했습니다.
“이엿사나 이어도 사나 이엿사나 이어도 사나 / 우리 배는 잘도 간다 / 솔솔 가는 건 솔남(소나무)의 배여 / 잘잘 가는 건 잡남(잣나무)의 배여 / 어서 가자 어서 어서”
아내는 제주 해녀의 민요 이어도타령을 부르며 힘겹게 노를 저었습니다. 멀고도 험난한 바닷길을 헤쳐 이어도에(내생각엔 오키나와) 당도해보니, 남편은 거기서 얻은 새 아내와 행복하게 살고 있는 게 아니겠어요. 하지만 아버지와 조강지처의 설득으로 남편은 다시 고향으로 돌아가기로 했습니다.
 온가족이 배를 타고 제주도로 향하는데, 갑자기 풍파가 몰아닥쳤습니다.
오는도중 이어도 암초에걸려결국 배는 침몰되고, 일가족은 모두 물에 빠져 죽고 말았습니다. 그 후 고향 사람들은 그 가족을 불쌍하게 여겨 제사를 지내주었습니다.
심청이의 전설이 있는곳 이기도 하다 심청이 이야기 다알기에 여기서는 논하지 않겠음
이상은 이어도에 얽힌 전설 중 하나입니다. 이어도는 제주도 사람들에게 전설의 섬이자 고단한 일상생활의 피난처인 이상향이기도 합니다.
****
중공놈들이 이섬을 지들 나라 섬이라며 한국을 압빡 하고 있다는데
아무래도 문재인 놈이 이섬을 중국 시진핑에게 넘길가 우려된다



추천 2

작성일2020-08-17 14:09

자몽님의 댓글

자몽
ㅁㅏ라도가 이전에는 태풍 불고 하면 안 보였다는데
지금은 방파제도 잘 만들어 놔서 그런 일은 없다고 하지만
제주도는 이미 중꿰 가 많이 사들여서 옛날의 제주도가 아니라고 하더군요..
지금 부동산 정책도 한국 사람에게는 쪼이면서
중꿰들은 몇채나 사도록 하는 이유가 뭔지 개새키들

jorge님의 댓글

jorge
한국이 실효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이어도에 대해 중국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는 사실이 7일 뒤늦게 확인됐다. 이어도는 제주도 남쪽 마라도에서 149㎞ 떨어져 있고, 중국으로부터는 247㎞나 떨어져 있다. 그동안 중국 외교부가 한국 정부의 이어도 활용에 대해 교섭을 요구한 적은 있지만 정부 산하기구가 이 섬을 중국 영토라고 공식 문서를 통해 주장

불꽃님의 댓글

불꽃
문통과 그 졸개들이 자기네 정권을 유지하기 위해 시가에게 갖어다 바칠 수도 있겠조, 아주 교활한 똥더펄이만도 못한것들입니다.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게시물이 없습니다.
게시물 검색
* 게시일 1년씩 검색합니다. '이전검색','다음검색'으로 계속 검색할 수 있습니다.
** 본 게시판의 게시물에 대하여 회사가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