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욕설, 비방, 광고, 도배질 글은 임의로 삭제됩니다.

삼위일체론의 이교적 기원

페이지 정보

이에수

본문

'
삼위일체론의 이교적 기원

기원 325년 6월에 로마제국의 지배자 콘스탄틴 대제는 최초의 교회총회를 소집했었다.
본회의는 콘스탄티노풀에서 약 45마일이 격한 소아시아의 소도(小都) 니케아에서 있었다. 318명의 감독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神聖)을 토의하기 위해 소집된 이 회의에 모여 왔다. 본 토론의 주도적 두 인물은 예수께서 어느 면에 있어서 하나님과 유사하다고 믿었던 이리우스(Arius)와 예수님은 완전한 하나님이시라고 믿었던 아타나시우스(Athanasius)였다. 오늘날의 말로하면 아리우스는 한 사람의 유리테리안(Unitarian)이라고 칭 할 수 있을 것이다.

제국의 서방(西方)으로부터 본회에 참석했던 대부분의 감독들은 당시에 삼위일체론 자들의 삼위적 하나님에 관한 교리를 받아들이고 있었다.

이 개념을 처음으로 신봉한 사람은 아니었지만 터둘리안(Tertullian)은 변설과 저술의 명료(明瞭)한 수법으로 이 교리에 대한 광범위한 지지를 얻을 수가 있었다. 그러나 우리가 알기로는 제국의 동방에서는 대부분의 교회가 함 분의 참 하나님에 대한 사도적 관념에 고착(固着)되어 있었다는 사실이다.
2개월 이상 동안에 회의가 끝난 후에 삼위일체론적 개념을 신앙하는 자들을 찬동하는 일개 결정은 내려졌다. 물론 이들 감독들의 대부분이 여기에 찬성했었다.

이렇게 하여 니케아 신조는 제정되고 교회 교리에 표준으로 인정되었다.
본 신조는 극소의 수정과 변화를 거쳐 오늘 날 삼위일체설을 믿는 기독교계에 사람들에 의해 신봉되고 본 신조는 사도적이 아니며 사실상 사도적 교훈으로부터의 직접적 이탈이다.

니케아 신조가 하나님의 유일성(唯一性) 교리를 직접적으로 겨냥한 것은 아니었지만 본 신조의 영향은 사도적 신앙자들의 대의(大義)에 직접적인 손상을 주었다. 본 신조로 말미암아 삼위일체설의 교육이 공식적 승인을 받은 것이었다.

이렇게 하여 교회가 시작된 후 3세기가 약간 더 지나자 교회는 완전한 배교(背敎)로 빠져들었다.(로라이네 보에트너의 책 ‘로마 카톨릭 사상' 20-25 페이지 참고). 예수님은 말씀하셨다.: “‘사람의 계명으로 교훈을 삼아 가르치니 나를 헛되이 경배하는도다.’하였느니라. 너희가 하나님의 계명은 버리고 사람의 유전을 지키느니라.... 너희 전한 유전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폐하며 또 이 같은 일을 많이 행하느니라.”(막7:7,8,13).
그러므로 우리가 알 수 있는 사실은 오늘 날 기독교의 대다수가 성서적 정당성을 묻지도 않고 1600년 전에 설정된 사람의 교훈을 따르고 있다는 사실이다.

삼위일체의 교리는 제 2세기 중엽에 소개되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터둘리안(Tertullian)이 실제로 본 교리의 시조이다. 다수의 추종자들을 이끌어 올 수 있었던 사람이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이 터둘리안은 침례 받는 사람을 3회 물 속에 가라앉히는(매회 하나님의 각 위를 위해 침수했음) 3회 침례설을 소개한 자로 인정되고 있다.

브리테니카(Britannica) 백과사전에 의하면 이러한 형식의 침례는
"당시에 행해지고(Hislop)있었던 관습을 중시하기 위해서 창안되었다. 당대 관습이라 함은 교회가 이교적(異敎的) 매개체(媒介體)로부터 채용한 것을 말한다. 이교도들의 불세식(정결케 하는 의식)들은 대개 3회 반복으로 되어있었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삼위론적 개념에 관한 이교적 기원에 관하여 알렉산더 히슬롬(Alexander Hislop)이 쓴 "2개의 바벨론(The two Babyions)"에서 인용 해 보기로하자.

"바벨론인들의 저 유일한 신의 개체 속에는 3 개의 위(位)가 있었으며 이 삼위일체의 교리를 상징하기 위해 레이아드의 발견이 입증하듯이 이들은 정삼각형을 사용했다. 이는 오늘 날 천주교회가 이렇게 하고있는 것과 동일하다." 히슬롭(Hislop)은 계속하여 논했다.

"교황권은 예컨대 소위 마드리드(madrid) 삼위일체론 자들의 수도원에 서있는 것과 같은 3두1체(삼(三頭一體)로 된 삼위일체 하나님의 형상을 그들 교회 안에 세워두고 있다. 바벨론인들도 이와 동일한 그 어떤 것을 갖고 있었다. 레이야드(Layard)는 그의 최종 저작 가운데 고대 앗시리아에서 섬겼던 그와 같은 삼위일체신의 실례를 제시했었다."


기원 전 7세기에 유대인들이 포로 되어 갔을 때 바벨론인들이 그 같은 삼위일체 신을 섬기고 있었다는 사실은 의심이 없다. 다니엘과 세 명의 히브리 청년들이 바벨론의 신 앞에 엎드려 절하기를 거절했던 실례를 찾을 수가 있다.
구약을 살펴보면 하나님께서는 인근 제국(諸國)의 신들을 섬기지 말도록 자기 백성에게 경고하고 계셨음을 볼 수가 있다. 그들은 이교도의 여하한 우상숭배행위에도 가담하지 못하도록 엄격한 금령을 받았었다.

그러나 유대교가 따르기를 거절했던 행사들이 차후에 교회의 신조에 병합되었음을 알 수가 있다.
부활절은 바벨론에서 기원되었으며 다산(多産)의 신(神) 탐무스(tammuz)의 부활을 기념하기 위해 소개되었다.
바벨론에서 이 날은 이쉬타(Ishtar)의 축제로 불리운다. 이쉬타는 탐무스의 아내로 숭배되었다.


더블유 란스델-와들(W. Lansdell- Wardle) 은 그의 책 <이스라엘과 바벨론(Israel and Babylon)>에서 이렇게 기술했다.
“삼신(三神) 즉 신(Sin), 사마쉬(Samash), 그리고 이쉬타(Ishtar)는 범(汎) 바벨론적 학설에서는 신들의 조상인 아누(Anu)의 자녀들로서 일개 가족으로 간주되고 있다.

사사기 2장 13절에는 "곧 그들이 여호와를 버리고 바알(Ba-al)과 아스다롯(Ashtaroth)을 섬겼으므로"라고 기록되었다. 본절에 대한 스코필드(Scofield)의 주석은 이렇다.

“아쉬토레스(Ashtoreth)(왕상 11: 5)의 복수형인 아스타롯(Ashtaroth)은 뵈니게(Phoenician), 여신 (희랍인들의 아스타르테) 아쉬토레스(Ashtoreth)의 군상(群像)들이었다.
이 신들은 이스라엘의 영적 타락기간의 우상들로서 섬겨졌었다.
(삿10:6, 삼상 7: 3,4. 12:10. 31:10. 왕상 11:5,33. 왕하 23:13)

예레미야는 아쉬토레스를 ‘하늘의 여신’이라 불렀다.”
신 16:21의 주석에서 스코필드는 “아쉬토레스는 바벨론의 여신 이쉬타(Ishtar)였으며 희랍인들의 아프로디테(Aphrodite). 로마인들의 비너스신(Venus) 이였다.”고 썼다.

삼산 7:3은 말 했다. “너희가 전심으로 여호와께 돌아오려거든 이방 신들과 아스다롯을 너희 중에서 제하고 너희 마음을 여호와께로 향하여 그만 섬기라"

삼상12:10. 12:10도 31:10도 참고 해 보자.
왕상 11: 5에는 솔로몬이 시돈사람의 여신 아스다롯을 섬겼다고 말씀하고 있다.
그 다음절에서는 솔로몬의 이 행위는 '여호와 보시기에 악이었다'고 했다.
다니엘은 하나님을 참으로 섬기고 있었던 다른 청년들과 함께 이들 신들을 섬기지 않기로 했다. 이들은 여호와께 진실 된 자들이 되기 위해 불구덩이나 사자 굴에 기꺼이 들어갔었다.

기독교인 중 많은 사람들이 동일한 입장을 취하기 위해 동일한 희생을 치르어오지 않았음은 부끄러운 일이다.
제이. 알. 일링워스(J. R. Illingworth)는 1907년에 쓴 그의 책 삼위일체의 교리(The Doctrie of the Trinity)에서 아타나시우스(Athanasius)의 삼위적(三位的) 입장을 옹호하고 있다. 그러나 74페이지에서 다음과 같이 논하고 있다.

"셋이 합쳐진 일단(一團)의 의미에 있어서의 삼위일체는 인도의 신들 중에, 고대 바벨론의 신들 가운데, 그리고 애굽의 신들 중에 각각 있어 왔다. 철학적 삼위일체는 풀라토(Plato)에게서 생겼는바 신풀라토 사상 속에 극히 현저하다."

1 Gordon Magee, Is Jesus In The Godhead, or Is theGodheadin Jesus" p.27 21bid, p.26


===================== 3 ====================


삼위일체론의 이교적 기원

기원 325년 6월에 로마제국의 지배자 콘스탄틴 대제는 최초의 교회총회를 소집했었다.
본회의는 콘스탄티노풀에서 약 45마일이 격한 소아시아의 소도(小都) 니케아에서 있었다. 318명의 감독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神聖)을 토의하기 위해 소집된 이 회의에 모여 왔다. 본 토론의 주도적 두 인물은 예수께서 어느 면에 있어서 하나님과 유사하다고 믿었던 이리우스(Arius)와 예수님은 완전한 하나님이시라고 믿었던 아타나시우스(Athanasius)였다. 오늘날의 말로하면 아리우스는 한 사람의 유리테리안(Unitarian)이라고 칭 할 수 있을 것이다.
제국의 서방(西方)으로부터 본회에 참석했던 대부분의 감독들은 당시에 삼위일체론 자들의 삼위적 하나님에 관한 교리를 받아들이고 있었다.
이 개념을 처음으로 신봉한 사람은 아니었지만 터둘리안(Tertullian)은 변설과 저술의 명료(明瞭)한 수법으로 이 교리에 대한 광범위한 지지를 얻을 수가 있었다. 그러나 우리가 알기로는 제국의 동방에서는 대부분의 교회가 함 분의 참 하나님에 대한 사도적 관념에 고착(固着)되어 있었다는 사실이다.
2개월 이상 동안에 회의가 끝난 후에 삼위일체론적 개념을 신앙하는 자들을 찬동하는 일개 결정은 내려졌다. 물론 이들 감독들의 대부분이 여기에 찬성했었다.
이렇게 하여 니케아 신조는 제정되고 교회 교리에 표준으로 인정되었다.
본 신조는 극소의 수정과 변화를 거쳐 오늘 날 삼위일체설을 믿는 기독교계에 사람들에 의해 신봉되고 본 신조는 사도적이 아니며 사실상 사도적 교훈으로부터의 직접적 이탈이다.
니케아 신조가 하나님의 유일성(唯一性) 교리를 직접적으로 겨냥한 것은 아니었지만 본 신조의 영향은 사도적 신앙자들의 대의(大義)에 직접적인 손상을 주었다. 본 신조로 말미암아 삼위일체설의 교육이 공식적 승인을 받은 것이었다.
이렇게 하여 교회가 시작된 후 3세기가 약간 더 지나자 교회는 완전한 배교(背敎)로 빠져들었다.(로라이네 보에트너의 책 ‘로마 카톨릭 사상' 20-25 페이지 참고). 예수님은 말씀하셨다.: “‘사람의 계명으로 교훈을 삼아 가르치니 나를 헛되이 경배하는도다.’하였느니라. 너희가 하나님의 계명은 버리고 사람의 유전을 지키느니라.... 너희 전한 유전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폐하며 또 이 같은 일을 많이 행하느니라.”(막7:7,8,13).
그러므로 우리가 알 수 있는 사실은 오늘 날 기독교의 대다수가 성서적 정당성을 묻지도 않고 1600년 전에 설정된 사람의 교훈을 따르고 있다는 사실이다.
삼위일체의 교리는 제 2세기 중엽에 소개되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터둘리안(Tertullian)이 실제로 본 교리의 시조이다. 다수의 추종자들을 이끌어 올 수 있었던 사람이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이 터둘리안은 침례 받는 사람을 3회 물 속에 가라앉히는(매회 하나님의 각 위를 위해 침수했음) 3회 침례설을 소개한 자로 인정되고 있다.
브리테니카(Britannica) 백과사전에 의하면 이러한 형식의 침례는
"당시에 행해지고(Hislop)있었던 관습을 중시하기 위해서 창안되었다. 당대 관습이라 함은 교회가 이교적(異敎的) 매개체(媒介體)로부터 채용한 것을 말한다. 이교도들의 불세식(정결케 하는 의식)들은 대개 3회 반복으로 되어있었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삼위론적 개념에 관한 이교적 기원에 관하여 알렉산더 히슬롬(Alexander Hislop)이 쓴 "2개의 바벨론(The two Babyions)"에서 인용 해 보기로하자.
"바벨론인들의 저 유일한 신의 개체 속에는 3 개의 위(位)가 있었으며 이 삼위일체의 교리를 상징하기 위해 레이아드의 발견이 입증하듯이 이들은 정삼각형을 사용했다. 이는 오늘 날 천주교회가 이렇게 하고있는 것과 동일하다." 히슬롭(Hislop)은 계속하여 논했다.
"교황권은 예컨대 소위 마드리드(madrid) 삼위일체론 자들의수도원에 서있는 것과 같은 3두1체(삼(三頭一體)로 된 삼위일체 하나님의 형상을 그들 교회 안에 세워두고 있다. 바벨론인들도 이와 동일한 그 어떤 것을 갖고 있었다. 레이야드(Layard)는 그의 최종 저작 가운데 고대 앗시리아에서 섬겼던 그와 같은 삼위일체신의 실례를 제시했었다."

기원 전 7세기에 유대인들이 포로 되어 갔을 때 바벨론인들이 그 같은 삼위일체 신을 섬기고 있었다는 사실은 의심이 없다. 다니엘과 세 명의 히브리 청년들이 바벨론의 신 앞에 엎드려 절하기를 거절했던 실례를 찾을 수가 있다.
구약을 살펴보면 하나님께서는 인근 제국(諸國)의 신들을 섬기지 말도록 자기 백성에게 경고하고 계셨음을 볼 수가 있다. 그들은 이교도의 여하한 우상숭배행위에도 가담하지 못하도록 엄격한 금령을 받았었다.
그러나 유대교가 따르기를 거절했던 행사들이 차후에 교회의 신조에 병합되었음을 알 수가 있다.
부활절은 바벨론에서 기원되었으며 다산(多産)의 신(神) 탐무스(tammuz)의 부활을 기념하기 위해 소개되었다.
바벨론에서 이 날은 이쉬타(Ishtar)의 축제로 불리운다. 이쉬타는 탐무스의 아내로 숭배되었다.

더블유 란스델-와들(W. Lansdell- Wardle) 은 그의 책 <이스라엘과 바벨론(Israel and Babylon)>에서 이렇게 기술했다.
“삼신(三神) 즉 신(Sin), 사마쉬(Samash), 그리고 이쉬타(Ishtar)는 범(汎) 바벨론적 학설에서는 신들의 조상인 아누(Anu)의 자녀들로서 일개 가족으로 간주되고 있다.
사사기 2장 13절에는 "곧 그들이 여호와를 버리고 바알(Ba-al)과 아스다롯(Ashtaroth)을 섬겼으므로"라고 기록되었다. 본절에 대한 스코필드(Scofield)의 주석은 이렇다.
“아쉬토레스(Ashtoreth)(왕상 11: 5)의 복수형인 아스타롯(Ashtaroth)은 뵈니게(Phoenician), 여신 (희랍인들의 아스타르테) 아쉬토레스(Ashtoreth)의 군상(群像)들이었다.
이 신들은 이스라엘의 영적 타락기간의 우상들로서 섬겨졌었다.
(삿10:6, 삼상 7: 3,4. 12:10. 31:10. 왕상 11:5,33. 왕하 23:13)
예레미야는 아쉬토레스를 ‘하늘의 여신’이라 불렀다.”
신 16:21의 주석에서 스코필드는 “아쉬토레스는 바벨론의 여신 이쉬타(Ishtar)였으며 희랍인들의 아프로디테(Aphrodite). 로마인들의 비너스신(Venus) 이였다.”고 썼다.
삼산 7:3은 말 했다. “너희가 전심으로 여호와께 돌아오려거든 이방 신들과 아스다롯을 너희 중에서 제하고 너희 마음을 여호와께로 향하여 그만 섬기라"
삼상12:10. 12:10도 31:10도 참고 해 보자.
왕상 11: 5에는 솔로몬이 시돈사람의 여신 아스다롯을 섬겼다고 말씀하고 있다.
그 다음절에서는 솔로몬의 이 행위는 '여호와 보시기에 악이었다'고 했다.
다니엘은 하나님을 참으로 섬기고 있었던 다른 청년들과 함께 이들 신들을 섬기지 않기로 했다. 이들은 여호와께 진실 된 자들이 되기 위해 불구덩이나 사자 굴에 기꺼이 들어갔었다.
기독교인 중 많은 사람들이 동일한 입장을 취하기 위해 동일한 희생을 치르어오지 않았음은 부끄러운 일이다.
제이. 알. 일링워스(J. R. Illingworth)는 1907년에 쓴 그의 책 삼위일체의 교리(The Doctrie of the Trinity)에서 아타나시우스(Athanasius)의 삼위적(三位的) 입장을 옹호하고 있다. 그러나 74페이지에서 다음과 같이 논하고 있다.
"셋이 합쳐진 일단(一團)의 의미에 있어서의 삼위일체는 인도의 신들 중에, 고대 바벨론의 신들 가운데, 그리고 애굽의 신들 중에 각각 있어 왔다. 철학적 삼위일체는 풀라토(Plato)에게서 생겼는바 신풀라토 사상 속에 극히 현저하다."

1 Gordon Magee, Is Jesus In The Godhead, or Is theGodheadin Jesus" p.27 21bid, p.26


================== 4 ===================









================== 4 ===================








삼위일체론의 이교적 기원







기원 325년 6월에 로마제국의 지배자 콘스탄틴 대제는 최초의 교회총회를 소집했었다.



본회의는 콘스탄티노풀에서 약 45마일이 격한 소아시아의 소도(小都) 니케아에서 있었다.

318명의 감독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神聖)을 토의하기 위해 소집된 이 회의에 모여 왔다.

본 토론의 주도적 두 인물은 예수께서 어느 면에 있어서 하나님과 유사하다고 믿었던 이리우스(Arius)와 예수님은 완전한 하나님이시라고 믿었던 아타나시우스(Athanasius)였다.



오늘날의 말로하면 아리우스는 한 사람의 유리테리안(Unitarian)이라고 칭 할 수 있을 것이다.



제국의 서방(西方)으로부터 본회에 참석했던 대부분의 감독들은 당시에 삼위일체론 자들의 삼위적 하나님에 관한 교리를 받아들이고 있었다.



이 개념을 처음으로 신봉한 사람은 아니었지만 터둘리안(Tertullian)은 변설과 저술의 명료(明瞭)한 수법으로 이 교리에 대한 광범위한 지지를 얻을 수가 있었다. 그러나 우리가 알기로는 제국의 동방에서는 대부분의 교회가 한 분의 참 하나님에 대한 사도적 관념에 고착(固着)되어 있었다는 사실이다.



2개월 이상 동안에 회의가 끝난 후에 삼위일체론적 개념을 신앙하는 자들을 찬동하는 일개 결정은 내려졌다. 물론 이들 감독들의 대부분이 여기에 찬성했었다.





이렇게 하여 니케아 신조는 제정되고 교회 교리에 표준으로 인정되었다.

본 신조는 극소의 수정과 변화를 거쳐 오늘 날 삼위일체설을 믿는 기독교계에 사람들에 의해 신봉되고 본 신조는 사도적이 아니며 사실상 사도적 교훈으로부터의 직접적 이탈이다.



니케아 신조가 하나님의 유일성(唯一性) 교리를 직접적으로 겨냥한 것은 아니었지만 본 신조의 영향은 사도적 신앙자들의 대의(大義)에 직접적인 손상을 주었다. 본 신조로 말미암아 삼위일체설의 교육이 공식적 승인을 받은 것이었다.



이렇게 하여 교회가 시작된 후 3세기가 약간 더 지나자 교회는 완전한 배교(背敎)로 빠져들었다.(로라이네 보에트너의 책 ‘로마 카톨릭 사상' 20-25 페이지 참고). 예수님은 말씀하셨다.



‘사람의 계명으로 교훈을 삼아 가르치니 나를 헛되이 경배하는도다.’하였느니라. ‘너희가 하나님의 계명은 버리고 사람의 유전을 지키느니라.... 너희 전한 유전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폐하며 또 이 같은 일을 많이 행하느니라’.(막7:7,8,13).



그러므로 우리가 알 수 있는 사실은 오늘 날 기독교의 대다수가 성서적 정당성을 묻지도 않고 1600년 전에 설정된 사람의 교훈을 따르고 있다는 사실이다.



삼위일체의 교리는 제 2세기 중엽에 소개되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터둘리안(Tertullian)이 실제로 본 교리의 시조이다. 다수의 추종자들을 이끌어 올 수 있었던 사람이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이 터둘리안은 침례 받는 사람을 3회 물 속에 가라앉히는(매회 하나님의 각 위를 위해 침수했음) 3회 침례설을 소개한 자로 인정되고 있다.







브리테니카(Britannica) 백과사전에 의하면 이러한 형식의 침례는


"당시에 행해지고(Hislop)있었던 관습을 중시하기 위해서 창안되었다. 당대 관습이라 함은 교회가 이교적(異敎的) 매개체(媒介體)로부터 채용한 것을 말한다. 이교도들의 불세식
(정결케 하는 의식)들은 대개 3회 반복으로 되어있었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삼위론적 개념에 관한 이교적 기원에 관하여 알렉산더 히슬롬
(Alexander Hislop)이 쓴 “2개의 바벨론(The two Babyions)”에서 인용 해 보기로하자.



“바벨론인들의 저 유일한 신의 개체 속에는 3 개의 위(位)가 있었으며 이 삼위일체의 교리를 상징하기 위해 레이아드의 발견이 입증하듯이 이들은 정삼각형을 사용했다. 이는 오늘 날 천주교회가 이렇게 하고있는 것과 동일하다.” 히슬롭(Hislop)은 계속하여 논했다.







“교황권은 예컨대 소위 마드리드(madrid) 삼위일체론 자들의수도원에 서있는 것과 같은 3두1체(三頭一體)로 된 삼위일체 하나님의 형상을 그들 교회 안에 세워두고 있다. 바벨론인들도 이와 동일한 그 어떤 것을 갖고 있었다. 레이야드(Layard)는 그의 최종 저작 가운데 고대 앗시리아에서 섬겼던 그와 같은 삼위일체신의 실례를 제시했었다.”





기원 전 7세기에 유대인들이 포로 되어 갔을 때 바벨론인들이 그 같은 삼위일체 신을 섬기고 있었다는 사실은 의심이 없다.

다니엘과 세 명의 히브리 청년들이 바벨론의 신 앞에 엎드려 절하기를 거절했던 실례를 찾을 수가 있다.



구약을 살펴보면 하나님께서는 인근 제국(諸國)의 신들을 섬기지 말도록 자기 백성에게 경고하고 계셨음을 볼 수가 있다. 그들은 이교도의 여하한 우상숭배행위에도 가담하지 못하도록 엄격한 금령을 받았었다.

그러나 유대교가 따르기를 거절했던 행사들이 차후에 교회의 신조에 병합되었음을 알 수가 있다.



부활절은 바벨론에서 기원되었으며 다산(多産)의 신(神) 탐무스(tammuz)의 부활을 기념하기 위해 소개되었다.

바벨론에서 이 날은 이쉬타(Ishtar)의 축제로 불리운다. 이쉬타는 탐무스의 아내로 숭배되었다.




더블유 란스델-와들(W. Lansdell- Wardle) 은 그의 책 <이스라엘과 바벨론(Israel and Babylon)>에서 이렇게 기술했다.
“삼신(三神) 즉 신(Sin), 사마쉬(Samash), 그리고 이쉬타(Ishtar)는 범(汎) 바벨론적 학설에서는 신들의 조상인 아누(Anu)의 자녀들로서 일개 가족으로 간주되고 있다.



사사기 2장 13절에는 "곧 그들이 여호와를 버리고 바알(Ba-al)과 아스다롯(Ashtaroth)을 섬겼으므로"라고 기록되었다. 본절에 대한 스코필드
(Scofield)의 주석은 이렇다.



“아쉬토레스(Ashtoreth)
(왕상 11: 5)의 복수형인 아스타롯(Ashtaroth)은 뵈니게(Phoenician), 여신 (희랍인들의 아스타르테) 아쉬토레스(Ashtoreth)의 군상(群像)들이었다.





이 신들은 이스라엘의 영적 타락기간의 우상들로서 섬겨졌었다.
(삿10:6, 삼상 7: 3,4. 12:10. 31:10. 왕상 11:5,33. 왕하 23:13)

예레미야는 아쉬토레스를 ‘하늘의 여신’이라 불렀다.”



신 16:21의 주석에서 스코필드는 “아쉬토레스는 바벨론의 여신 이쉬타(Ishtar)였으며 희랍인들의 아프로디테(Aphrodite). 로마인들의 비너스신(Venus) 이였다.”고 썼다.

삼상 7:3은 말 했다. “너희가 전심으로 여호와께 돌아오려거든 이방 신들과 아스다롯을 너희 중에서 제하고 너희 마음을 여호와께로 향하여 그만 섬기라"



삼상12:10. 12:10도 31:10도 참고 해 보자.



왕상 11: 5에는 솔로몬이 시돈사람의 여신 아스다롯을 섬겼다고 말씀하고 있다.

그 다음절에서는 솔로몬의 이 행위는 '여호와 보시기에 악이었다'고 했다.







다니엘은 하나님을 참으로 섬기고 있었던 다른 청년들과 함께 이들 신들을 섬기지 않기로 했다. 이들은 여호와께 진실 된 자들이 되기 위해 불구덩이나 사자 굴에 기꺼이 들어갔었다.





기독교인 중 많은 사람들이 동일한 입장을 취하기 위해 동일한 희생을 치르어 오지 않았음은 부끄러운 일이다.



제이. 알. 일링워스(J. R. Illingworth)는 1907년에 쓴 그의 책 삼위일체의 교리(The Doctrie of the Trinity)에서 아타나시우스(Athanasius)의 삼위적(三位的) 입장을 옹호하고 있다. 그러나 74페이지에서 다음과 같이 논하고 있다.





"셋이 합쳐진 일단(一團)의 의미에 있어서의 삼위일체는 인도의 신들 중에, 고대 바벨론의 신들 가운데, 그리고 애굽의 신들 중에 각각 있어 왔다. 철학적 삼위일체는 풀라토(Plato)에게서 생겼는바 신풀라토 사상 속에 극히 현저하다."





1 Gordon Magee, Is Jesus In The Godhead, or Is theGodheadin Jesus" p.27 21bid, p.26







추천 0

작성일2024-03-21 22:19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종교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303 성경만 믿는다면서 개소리 베껴다놓고 '사전'도 믿는 놈 인기글 환타지 2024-03-28 371
7302 신학자들의 쌩 거짓 말(시내산) 인기글 이에수 2024-03-28 375
7301 읽어도 읽어도 좋은 글 ---- 펌 인기글 이에수 2024-03-28 366
7300 돌이갈 '본향'(本鄕) 인기글 이에수 2024-03-28 360
7299 마귀의 탈을 쓴 자들의 [마28:19의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이라는 구절의 당사자는 누구이며 무엇… 인기글 이에수 2024-03-28 370
7298 사전에서 종교의 정의: 인기글 이에수 2024-03-28 363
7297 하나님 민족이 꿈꾸는 망상 인기글 Gymlife2 2024-03-27 324
7296 다시 보는 로마서 14 / 롬 5:12-21 / 남포교회 박영선 목사님 인기글 WTiger 2024-03-27 310
7295 한국어보다 영어가 더 쉽게 알아먹기 쉬운 예수님의 정체 인기글 환타지 2024-03-27 339
7294 예수께서 이 땅에 오신 이유는? 인기글 환타지 2024-03-27 319
7293 다시 보는 로마서 13 / 롬 5:1-11 / 남포교회 박영선 목사님 인기글 WTiger 2024-03-27 327
7292 동수(Gymlife2,양심)가 미친 게 남탓할 일일까 인기글 WTiger 2024-03-27 320
7291 성경 통역했다고 사형당항 사람. 인기글 Gymlife2 2024-03-27 319
7290 이런 유대교에서 나온 기독교가 인기글 Gymlife2 2024-03-26 184
7289 구세군교회 부흥회 인기글첨부파일 구세군교회 2024-03-26 198
7288 다시 보는 로마서 12 / 롬 4:23-5:4 / 남포교회 박영선 목사님 인기글 WTiger 2024-03-26 249
7287 어차피 정신병자 동수가 알아들을리 없지만 그래도 인기글 WTiger 2024-03-26 261
7286 Wtiger가 반공하며 하나님 어쩌구 하면서 인기글 Gymlife2 2024-03-26 255
7285 [CBS 뉴스] 전능신교 기획 ① 전능신교 창시자 조유산의 전처 '생생한 증언' 인기글 WTiger 2024-03-25 262
7284 [이단사이렌2_17회] 부부사기극 전능신교 인기글 WTiger 2024-03-25 257
7283 전능신교는 기독교가 아닌 사교(邪敎) 집단이죠. 맥도날드 살인사건을 일으킨 살인집단입니다. 인기글 WTiger 2024-03-25 229
7282 이에수가 아무리 똥폼을 잡아도 이에수는 전능신교 신도로 짱께 무당 양향빈을 빠는 놈 인기글 WTiger 2024-03-25 228
7281 여자가 낳은 자 = 성령을 따라 난 자. 인기글 이에수 2024-03-25 233
7280 왜일까? --- 출생과 죽음 인기글 이에수 2024-03-25 237
7279 예수께서는 당신자신이 '하나님'이라고 아셨는가? 댓글[3] 인기글 환타지 2024-03-25 263
7278 임금 아들의 혼인잔치 인기글 이에수 2024-03-25 242
7277 '예수'는 '여자'의 후손일까 아닐까? 댓글[2] 인기글 환타지 2024-03-25 261
7276 누가 하느님의 어머니 마리아를 '계집종'이라 했나? 댓글[2] 인기글 환타지 2024-03-25 243
7275 ‘침례’냐, ‘세례’. 그 하나, 둘, 셋, 넷 — 개 잔나비와 동일종들 보라 인기글 이에수 2024-03-25 235
7274 옛 예수 형상 댓글[1] 인기글 Gymlife2 2024-03-25 239
게시물 검색
* 게시일 1년씩 검색합니다. '이전검색','다음검색'으로 계속 검색할 수 있습니다.
** 본 게시판의 게시물에 대하여 회사가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